공예품 흥정하는 재미가 가득한 골동품 거리 유리창 서편
뜻있는 중국인들은 라오베이징(老北京)의 쓰허위엔(四合院)과 후통(胡同)의 변화, 소멸, 그리고 파괴를 안타까워 한다. 리여우리창(琉璃厂) 역시 점점 도시화, 특히 베이징올림픽을 앞둔 베이징 시정부의 정책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 변모할 것 같다.
환경과 문화 올림픽을 지향해 전통을 잘 보존하는 방향으로 가기를 기대해 본다. 남의 나라 일이라고 무관심한 것보다는 중국의 전통거리도 동양의 숨결이 숨었다 여기고, 또 우리의 정서와도 이어져 있으니 까짓것 '중국의 문화도 우리들의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하고, 13억 중국인들보다 더 즐겁게 맛보자. 그러니, 이곳도 아주 멋지게 보존되길 빌어본다.
보석처럼 보이나 비싼 보석은 아니다. 이쁜 귀걸이, 팔찌 등도 싸게는 30위엔부터 바가지를 써도 100위엔 정도면 산다. 베이징에는 내가 가본 곳 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공예품들이 많은 찡청바이꽁팡(京城百工坊)에 가면 값도 싸고 멋진 장신구들이 많았던 것 같다. 이런 걸 좋아하는 여자분들은 한번 가보시길.
찾아가실 분은 우선, 한국사람들이 자주 찾는 홍치아오(红桥) 시장에서 왼편, 남쪽으로 좀 내려오면 티엔탄똥루(天坛东路)와 티위관루(体育馆路)와 만나는 삼거리에서 동쪽으로 약 세 블럭 가면 광밍루(光明路)와 만나는 사거리가 보인다. 그 사거리 건너 오른편 3층인가 4층인가 건물이 바로 그곳이다. 외국방송국들이 베이징 공예품 취재를 자주 하는 곳이라 한다. 그래서 갔었는데 그 정도는 아니고 재미난 것들이 많긴 하다.
중국에서는 붓글씨, 즉 서예와 붓으로 화선지에 그리는 그림을 다 묶어 슈화(书画)라고 한다. 처음엔 글씨를 말하는 것인지 그림을 말하는 것인지 약간 헷갈리더라. 슈화를 파는 가게 종업원이다. 리여우리창은 손님들이 와도 그저 여유롭다. 그래서 더 좋긴 하지만 ... 부담 없이 마음껏 보고 만지고 해도 별탈이 없다.
당대 실력파 서예가 작품을 전문적으로 파는 가게란다. 문제는 서예나 그림이나 유명한지 아닌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그저 느낌으로 감상하고 정감이 가는 것은 가격을 물어보고, 아 이 정도 가격의 작품이구나 하는 정도.
차이나TV PD랑 걷다가 흥미로운 시계를 발견했다. 특이한 구조와 장식으로 눈길을 끌었다. 처음에 아마 7~800위엔을 불렀던 것 같은데, 비싸서 못사겠다니 나중엔 등 뒤에서 200위엔을 불렀다. 잘 하면 150위엔이면 살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둘이 이거 사서 한국에 옥션에서 팔아볼까 뭐 그런 이야기도 하며 걸었다. 후후
나무에 걸린 그림은 햇살에 더욱 화사해 보기 좋고 빗자루도 마침 제자리인 양 서 있다. 마음에 들던 그 시계가 땅바닥에 있는 것이 좀 마음에 걸리지만 보고 있노라니 전체적으로 편한 느낌이다.
여러 조각상이나 장신구, 집안살림도구들이 한데 어우러졌다. 중국 생활이 좀 길이 들었는지 마음에 드는 것들이 하나둘 생겨난다. 그때마다 다 사 모았다가는 큰일. 집부터 크게 장만하고 고민해볼 일이다.
산수화를 아주 길게 그렿고 병품처럼 만들어 놓았는데 뭔가 좀 균형이 안맞는다는 생각이다. 저런 형태의 그림들이 가끔 눈에 뜨이긴 하는데, 도대체 나는 별로다. 보고 있으면 영 불안하다.
경극 주인공들이다. 액자 속에 들어 있으니 고급스러워 보인다.
이곳이 서편의 끝이다. 1년 전인가 저 길로 빠져나가 본 적이 있다. 골목을 따라가면 후통이 연이어 있고 큰 상점이 나오기 시작하면 큰 대로다. 바로 씨엔우먼와이따지에(宣武门外大街)가 나온다.
베이징은 거리 명칭이 일관성이 있다. 즉, 어느 지명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을 붙이면 금방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여우리창똥지에(琉璃厂东街)하면 리여우리창 동쪽 거리라고 쉽게 판단된다. 다소 특이한 것은 안과 밖이다. 씨엔우먼와이따지에, 이러면 그건 시 중심, 고궁과 가까운 거리를 네이지에(内街)라 하고 바깥 거리면 와이지에(外街)라 한다.
그런데, 헷갈릴 수 있는 것은 어떤 경우는 동서남북으로 하고 어떤 경우는 안과 밖이라 하니 그것만 잘 파악하면 된다. 또, 큰길인지는 따지에(大街)라고 하니 대로라고 생각하면 된다. 작은길은 샤오지에(小街)라고는 하지 않는 것 같다.
게다가 베이징은 고궁을 중심으로 둥근 고리처럼 환(环) 도로가 있어서 길 찾기도 쉽다. 똥산환베이루(东三环北路)라고 하면 동쪽 삼환로의 북쪽 도로니 말이다. 난쓰환씨루(南四环西路) 그러면 금방 베이징의 어느 정도의 곳인지 감이 들 것이다. 음~잘 모르겠다고? 그러면 지도 놓고 10분만 눈으로 싸우면 된다.
서편 끝에 재미난 물건들이 좀 있다. 끝이니 물건이 좋아야 팔릴 것이니 그런가.
바로 이 녀석이 참 마음에 든다. 말 위에 원숭이, 그리고 새끼 원숭이까지. 가게 안에 있는 걸 이리 보고 저리 보고 하다가 마오쩌똥 그림 위에 올려놓고 사진을 찍었다. 100위엔이면 살 수 있고 잘 하면 아마 70위엔에도 가능할 것이다. 가장 좋은 매매는 서로가 기분이 좋아야 한다. 가장 잘 사는 노하우는 물건의 원가에 최대한 근접하면서 파는 사람과 웃으며 헤어지는 것이 제일 좋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그건 물건 사는 자기만의 노하우를 개발해야 할 문제겠다.
나는 우선, 최대한 파는 사람과 친해진다. 말을 잘 못해도 상관 없다. 심지어 '너 정말 이쁜 목걸이 했네' '너 한국 연예인 좋아하지?' '나 중국 온지 얼마 안되는데, 중국 너무 좋아, 그리고 이 물건 정말 마음에 들어' 등등. 시간이 걸려도 말이다.
나는 또 이상한 습관이 있는데 내가 미리 예상한 금액이 아니면 가급적 안 산다는 것이다. 시간 넉넉하니 중국어도 배우면서, 내가 원하는 값으로 산다는 게 원칙아닌 원칙이다. 왜냐고? 시장에서 물건 사는 것도 중국에서 기업 비즈니스 하는 것과 하나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1위엔 더 싸게 사면 오더 100만개면 100만위엔이니 ...
그래서 정말 사고 싶은 걸 못 산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씨여우쉐이(秀水) 시장에서 정말 마음에 드는 가죽신발을 1년 동안 수없이 갔어도 아직 못사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런데, 언젠가는 꼭 사리라 믿는다. 왜냐? 불과 20위엔 정도 차이니. 누가 이기나 보자는 이상한 내 외곬수는 따라 하지 않기를 ...
서편 끝에 있는 또하나의 가게다. 이 주인은 조선족이다. 말이 통한다는 것은 물건을 흥정하는데 오히려 불리하다. 우리를 알아보고 조선말로 부른다. 그냥 지나치려다가 그림들이 특이해 들어갔다.
이 소녀가 눈길을 잡았기 때문이다. 섬찍하기도 했다가 귀엽기도 했다가 영 아리송한 느낌이 든다. 이런 세밀화로 그린 인물화는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왠지 저 동글동글한 눈 코 입이 인상에 남는다.
초원의 아이인가.
이 가게는 온통 인물화를 판다. 혹시 관심 있는 분들 찾아가시기 바란다.
오히려 이런 서민적이 화풍이 더 마음이 편하다.
헉 호랑이. 아마 동북호랑이일 듯 싶다.
사실은 조선족 주인이 계속 이것저것 그림을 보여주고 자꾸 그래서 이리저리 둘러본 것인데 그림들을 사다가 뭐하지 싶어 건성으로 봤다. 그러다가, 이 그림을 보게 됐다. 글쎄 비단 위에 그린 그림이란다. 비단이라. 참 재주도 좋다 싶다.
거기다가 어느 한국사람이 자기가 나중에 꼭 사러 올테니 보관하고 팔지 말라고 했단다. 그것도 1000위엔으로 말이다. 그러면서 800위엔에 주겠단다. 그래서 나도 지금은 돈이 없으니 나중에 와서 사겠다고 했다. 그런데, 정말 한 100~200위엔 사이면 살까도 생각했다.
서편 끝까지 다 봤다. 일행과 되돌아가려는 길이다. 해가 어느덧 서쪽을 향해 기울고 있다. 긴 그림자는 여전한데 분명 우리 일행은 세명이건만 나란히 선 또 한사람은 누구란 말인가. 네명 중 사진을 찍고 있을 나는 누굴까?
이후 유람자전거를 타고 리여우리창과 후통을 한바퀴 돌았고, 이쁜 찻집에서 차 한잔했다. 그리고 이 부근에서 아주 맛난 저녁까지 먹었으니 이날 참 많이 즐거웠다. 이어서 유람과 찻집, 저녁식사에도 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