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보포럼(세리포럼)에서 지난 2014년 8월 출판기념회 겸 13억인과의 대화 강의한 자료이다.출간된 책을 전부 묶어 관련 영상과 사진을 함께 보며 이야기를 나누어 본 시간이었다. 1편 정치인은 모택동과 유소기 주석의 삶에 대한 이야기, 장학량의 구금과 사랑 이야기, 향후 중국 정계의 4대천왕으로 성장할 정치인, 시진핑 국가주석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 중국공산당의 혁명운동의 도화선이 된 남창봉기, 20세기 가장 훌륭한 인맥, 중국 선거에 관한 이야기 등으로 꾸몄습니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국의 대중문화가 중국으로 진출했다. 이것은 지금의 '한류'에 소중한 기회이기도 했는데 중국기자가 기사에서 언급한 '한류'라는 부정적 뉘앙스는 한국대중문화의 저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의 대중문화 흐름으로 완벽하게 바꿔 놓았다. 중국 한류의 흐름을 파악하고 중국 미디어, 특히 방송산업과 중국 대중문화산업에서 주목할만한 영화감독군과 그 흐름을 훑어보는 강의이다. 2014년 10월 1일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언론학특강 강좌를 빌어 2시간 동안 강의한 내용을 소개한다.
2015년을 맞아 양에게 보내는 진혼곡 2015년 새해가 밝았다. 해가 뜨고 저물고 달이 솟고 사라지는 하루가 어디 오늘뿐이겠는가? 천지 만물이 생기고 세상의 온갖 동물이 인간과 더불어 살기 시작하자 털조차 눈처럼 정겨운 양羊이 한눈에 들어왔다. 양은 고기가 됐고 똥오줌은 밭을 가꾸었고 가죽은 인간의 피부를 감싸주었으며 뿔로는 술을 따르고 노래를 부르도록 악기가 됐다. 그래서 양은 토템이 되기도 했고 양의 피는 하늘에게 바치는 경배로 승화했다. 동한시대 학자 허신許愼이 평생 심혈을 뿌리며 연구한 한자의 교본 를 펼치면 양羊은 곧 상祥이라 해설하고 있다. 경사가 날 정도로 운이 좋아 행복하다고 해야 할 길상吉祥이자 매우 기쁘고 좋은 징조인 상서祥瑞이다. 이보다 더 좋은 뜻이 또 있을까? 양의 해를 맞아 덕..
신선거神仙居, 이름부터 신비롭고 절경의 냄새가 풍긴다. 신선거는 절강성 태주台州 시 선거현仙居县에 위치한 국가4A 급 관광지이다. 신선거는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기 힘들 정도로 독특한 화산 유문암 지형으로 기암절벽이 곳곳에 펼쳐져 있다. 화산 암석 중에서도 유문암 지형은 바위의 색깔이 아주 하얗게 표피를 이루고 있어 운무에 휩싸이면 그 은은한 빛깔이 더 화사해 보인다. 암석들 이름도 다양해서 관음암, 여래상, 영객산신, 장군암, 수미인睡美人 등 100여 곳에 이를 정도로 풍광이 아름답다. 오르내릴 때 다 케이블카가 마련돼 있어 쉽사리 산에 오를 수 있고 힘들지도 않고 트레킹 코스가 잘 관리돼 있다. 길을 따라 오르내리고 산봉우리 능선을 여러 바퀴 돌고 돌아 가면서 경치를 구경하는 맛이 아주 좋다. 계곡이 ..
공산당과 합작해 먼저 항일투쟁에 나선다는 약속을 하고 풀려난 장개석은 1937년에 돌연 장학량을 구금한다. 장학량은 장개석의 고향인 절강성 봉화시 계구현 설두산(雪竇山)에 유폐되고, 상해에서 친 자매처럼 함께 거주하던 우봉지와 조일적은 한 달에 한 번씩 번갈아 가며 설두산으로 가 장학량을 돌본다. 이때 조일적은 아들을 낳았고, 얼마 후 일본군은 장개석의 고향을 침공한다.장학량이 하와이로 이주한 후 2000년에 조일적이 사망하고, 10개월 후 장학량도 사망하자 둘은 합장되었다. 장학량은 어린 시절에는 경비행기를 타고 만주벌판을 날아다녔고, 술과 담배는 물론이고 한때는 아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103세라는 장수를 누렸으니 놀라울 따름이다. 세계에서 그 유래가 없을 만큼 장기간의 정치 보복을 당했지만 천수를 ..
설두산雪窦山은 절강 성 봉화 시에 위치한 명산입니다. 200여명의 관광객이 참여한 가운데 설두산 트레킹 대회가 열렸습니다. 주최 측은 장개석이 아들과 함께 다녔던 길을 처음으로 개방하고 대회를 열었습니다. 장개석과 관련된 역사 이야기는 따로 기사로 알려드리겠지만 대회 특별공연을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봉화 시의 유일한 무형문화재 공연, 용무龙舞입니다. 2008년 2월 문화부의 비준을 받아 공식적으로 인정돼 잘 알려진 무형문화재 전승자는 봉화 시의 자랑입니다. 10명이 한 팀이 돼 커다란 용 문양을 들고 휘황찬란한 군무를 보여줍니다. 한나라 시대부터 생성됐다고 하지만 기록이 미비하고 청나라 말기에는 자주 시연되곤 했던 듯하다. 오래 전부터 전승돼 오던 이 지방 문화예술이 20세기에 이르러 장개석을 비롯해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