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과거를 품고 지금도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 가장 완벽한 고성을 가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63> 산시 ④ 핑야오고성
표준국어대사전은 ‘옛날에 지은 오래된 성’이라 한다. 사전 속 고성은 무미건조하다. 덧붙이면 좋겠다. ‘과거를 고스란히 품고 지금도 사람이 거주하며 살아가는 공간’이라 표현하면 훨씬 포근한 느낌이다. 언덕 위에 뾰족하게 솟은 유럽 고성과 달리 중국 고성은 서민의 애환이 녹아있다. 대체로 관청이 있고 서민을 위로한 신앙이 곁을 지켰으며 풍물이 발달했다. 엄청나게 많기도 하다. 4대 고성, 8대 고성이라 자랑하는 곳만 찾아가려 해도 하나의 동선, 한 번의 여행으로는 불가능하다. 가장 완벽한 고성 하나를 꼽으라면, 찰나도 필요 없다. 1997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핑야오고성(平遥古城)으로 간다.
{계속}


'매체기고 > 한국일보발품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윈이 흠모한 무협소설의 대가… 김용은 왜 이곳을 찾았을까 (0) | 2021.05.10 |
---|---|
'용맹의 신' 관우가 '장사의 귀재' 산시 상인의 우상이 된 까닭 (0) | 2021.04.24 |
포용과 겸손...'200년 호황' 상인 집안의 철학을 엿보다 (0) | 2021.03.29 |
공자의 후손이 어쩌다 '나라의 좀'이라 조롱 받게 됐나 (0) | 2021.03.13 |
반란 지도자가 맡긴 짐에 금은보화가...거상이 된 왕씨 마을 (0) | 2021.02.28 |
최근에 올라온 글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