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회 지린 백두산으로 찾아가자 우리들의 백두산으로 지린(吉林)은 만주어로 ‘쑹화강을 끼고 있는 땅’이라는 뜻이다. 쑹화강은 백두산 천지를 발원으로 해 장장 2천 킬로미터를 흘러가는 강. 지린 성 수도인 창춘(長春)은 일본제국주의 만주국이 세워졌던 곳이며 광개토대왕의 비석이 있는 지안(集安) 일대는 고구려 흔적이 많다. 옌볜(延邊)에는 조선족자치주가 있으며 우리 민족의 영산 백두산이 자리잡고 있다. 중국에서는 백두산을 창바이산(長白山)이라 부르는데 최근에 산 바로 옆에 공항이 생겨 백두산관광이 더 활기를 띨 전망이다. 압록강과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접경을 이루고 있으며 항일운동 유적지도 많은 곳이다. 마지막 황제이자 일본이 세운 만주국 황제를 역임한 푸이와 고구려 및 우리 조선족 동포들이 살아가는..
10회 랴오닝 2 – 고구려 산성 혼자 보기에는 너무나 아름답다 5) 환런 桓仁 혼자 보기 아까운 고구려 산성의 흔적 랴오닝 환런에 도착한 후 다시 10여 분 더 달려가면 우뉘산(五女山) 산성이다. 입장권을 사고 산성까지 가는 전용차량으로 갈아타야 한다. 멀리서도 우뉘산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가파르게 솟아있는 독특한 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로가 아주 지그재그이다. 산을 다 보려면 2시간 이상 걸린다고 한다. 자그만 산성 하나 오르는데 아무리 길어야 1시간이면 될 줄 알았다. 입구를 지나자마자 바로 가파른 스바판(十八盤) 등산로가 나타났다. 태산의 등산로와 이름이 똑같다. ‘이거 참 예상에 없던 고생’ 길이 될 듯하다. 태산보다야 덜 하지만 숨이 턱까지 차오르도록 쉼 없이 올라가야 하는 것은 비슷..
9회 랴오닝 1 국가보안법적 착각으로 찾아간 북한 땅 랴오닝 성은 동북3성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하며 황해와 랴오둥완(遼東灣)를 끼고 있으며 허베이 성, 네이멍구자치구, 지린 성 및 북한과 경계를 짓고 있다. 북방민족과 중원민족의 경계를 가지고 역사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있는 가운데 1929년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랴오허(遼河) 지역이 영원히 안정되기를 바라는 뜻으로 랴오닝이라고 성 이름을 정했다. 성의 수도는 만주족의 거점이던 션양이며 동북의 홍콩이라는 다롄, 북한과의 통로인 압록강변 도시 단둥, 모세의 기적과 중국 창조신화인 반고의 전설이 있는 진저우와 고구려 산성이 있는 환런으로의 역사문화 체험을 시작! 09 랴오닝 편 1 – 국가보안법적 착각으로 찾아간 북한 땅 1) 진저우 錦州 모세의 기적과 중국 ..
8회 허베이 2 – 만리장성의 출발 그 이름도 멋진 용머리 5) 창리 昌黎 한무제가 다녀간 산에서 조선을 찾아라 허베이 창리에는 제스산(碣石山)이 있다. 창리 역에서 삼륜차를 타고 도착한 후 산길을 10분 정도 걸어가니 입구가 나온다. 입구를 따라 들어가니 불교사원 쉐이옌쓰(水岩寺)는 공사 중이라 번잡하다. 건물도 새로 단장해서 너무 깔끔해 보이는 것이 산과 그다지 잘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사니 A4 용지에 복사된 흐릿한 등산지도를 한 장 준다. 매표소 아가씨가 2시간 걸린다 했으니 생각보다 힘든 산행이 될 듯하다. 바로 앞에 산 정상이 보이건만 경사가 가파르니 시간이 많이 걸리나 보다. 이 제스산은 한나라 무제도 다녀간 명산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110년에 한 무제가 '태산부터..
7회 허베이 편 1 하루 밤에 연인과 3번 사랑을 나누어야 한다 허베이 성은 수도 베이징과 직할시 톈진을 둘러싸고 있으며 화북평원과 발해 연안을 포함하고 있다. 우공구주도(禹貢九州圖)의 기주(冀州)를 말하며 춘추전국시대의 연(燕)나라와 조(趙)나라의 땅이다. 한(漢)나라와 진(晉)나라에 이르러 기주 외에도 유주(幽州)가 설치된다. 삼국시대의 유비, 장비, 조운을 비롯 의 무송이 태어난 곳이다. 당나라 개국황제인 이연과 송나라 태조인 조광윤의 원적지이기도 하며 의 저자 조설근과 청나라 말기 무술가인 곽원갑도 허베이 출신이다. 베이징 남쪽은 평야지대이며 북쪽으로는 발해 연안에 만리장성 동쪽 끝인 산하이관이 있으며 중국 창세기 신화인 반고의 전설이 있는 비자산이 있고 쓰촨 대지진 이전 중국 최대의 지진피해지인..
6회 산시 2 하늘 향해 지은 사원에 점 하나 더 찍다 1) 핑야오 平遙 펑크 난 자전거 타고 찾아간 1400년 전 사원 자전거를 빌려 타고 핑야오고성에서 약 10km 떨어진 솽린쓰(雙林寺)라는 불교사원으로 간다. 길게 뻗은 길, 거의 차가 다니지 않으니 공기도 맑다. 자전거를 타고 천천히 여유를 즐기며 가고 있는데 갑자기 자전거 앞 바퀴가 펑크가 났다. 아무리 힘껏 자전거 페달을 밟아도 속도가 나오지 않아 살펴보니 어느 새 바퀴에 공기가 다 빠져나간 상태이다. 펑크가 난 자전거도 굴러가기는 한다. 시간이 더 걸리고 힘도 더 들고 약간 덜커덩거리니 엉덩이가 아프긴 하지만 가로수가 멋지고 바람도 상쾌하다. 서두를 일도 없으니 펑크 난 자전거 여행도 별미이다. 솽린쓰는 북제(北齊)시대인 서기 571년에 처음..
5회 산시1 세계문화유산 고성의 중국 최초 은행 산시는 타이항산(太行山) 서쪽에 위치하며 주(周)나라 무왕의 아들 당숙우(唐叔虞)의 분봉 영토였는데 그의 아들 섭부(燮父)가 진(晋)나라를 세우게 된다. 진(晉)나라는 전국시대에 이르러 한(韩), 초(赵), 위(魏)로 삼분되기도 한다. 위진남북조 시대 선비족인 척발씨가 세운 북위(北魏)와 당나라 이연(李淵)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명청(明清)시대에는 중국의 4대 상방 중 하나인 진상(晉商)이 형성되고 청나라 후기에 이르러 상업과 금융의 중심지로 부각되면서 퍄오하오(票號)와 함께 호위 무사집단인 뱌오쥐(鏢局)가 성장하기도 한다. 산시 상인들은 중국 최초의 주식회사와 은행(銀行)을 세웠으며 ‘신용을 지키고(守信), 의리를 먼저 중시하고(講義) 이후 이익 취한다(..
중국 차기 국가주석이 될 시진핑의 아버지 시중쉰 지난 4월 25일, 홍콩 유력언론 봉황망(鳳凰網)은 를 출처로 중국현대사 인물 시중쉰(習仲勳)을 보도했다. 1979년 당시 광둥성장이던 시중쉰이 '눈물로 백성의 고충을 처리하다'는 내용이다. 혁명1세대인 수많은 중국 공산당 인물 중 유독 그의 이름이 관심을 끄는 이유는 무얼까. 바로 2012년 차기 주석이 될 시진핑(習近平)의 아버지이기 때문이다. 잡지 의 제호는 원래 였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이하 당 중앙)의 전권을 받고 성장이 된 시중쉰은 1970년대 말 광둥 주민들의 '홍콩으로의 탈출(偷渡)'에 직면했다. 선전(深圳) 당 간부들과 시중쉰은 논쟁을 벌인다. '사회주의 계급투쟁'과 '생계의 현실'을 놓고 언쟁한다.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시중쉰은 쉴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