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2011년 7월 23일 캐나다에서 베이징으로 압송돼 온 레이창싱 / 신화망) 중국, 지금 성장 못지 않게 정치개혁 급선무 12년만에 공개 법정에 선 밀수왕 레이창싱 [AAP News Beijing, China=최종명특파원]4월 6일 샤먼 시 중급법원은 밀수집단 수괴 전 위안화(遠華) 그룹 레이창싱(賴昌星)의 밀수와 뇌물공여 혐의로 공개재판을 열었다고 신화망이 보도했다. 역대 최고 금액인 530억 위안(약 9조5천억 원)의 밀수, 300억 위안(약 5조4천억 원)의 탈세뿐만 아니라 성 및 중앙 고급공무원들에게 광범위한 뇌물공여 혐의까지 있으니 가히 메가톤급이다. 1999년 4월 중앙기율위원회와 해관총서(세관)에 레이창싱에 대한 우편 제보가 있었다. 곧바로 특별수사팀이 파견돼 300여명의 고급..
(사진설명 : 평화롭게 느껴지는 북경 / AAP 자료사진) [AAP News Beijing, China] 한국언론이 앞다투어 ‘중국 내란 조짐’을 보도하고 있다. 충분히 개연성 있는 시나리오이다. 본질적으로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가 주도하는 개혁파와 상히이방이 주도하는 좌파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2012년 정치체제 변화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내부갈등이 첨예한 시점이니 그럴만도 하다. 보시라이 전 서기의 ‘충칭모델’은 개인적으로 아주 ‘몹쓸 짓’이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왕양 서기가 추구하는 ‘광둥모델’이 현 중국에서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싶다. 왕양은 전 충칭 서기였다. 중앙무대에서 좌천된 보시라이는 충칭을 원했고 곧바로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해 왕양의 인적..
BEIJING, China (AVING) 홍콩 인터넷매체의 2012년 기업 인수 시나리오삼성 AMOLED TV의 판매부진이 지속돼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자, 부득이 회사를 구제해 줄 것을 창훙(长虹)에 요청했다. 창훙은 2.13억RMB(약380억원)을 출자해 삼성을 사들여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소속 기업으로 편재했다. 삼성의 패널 생산라인을 창훙의 핸드폰 기술라인으로 업그레이드 후 조선(북한)으로 옮겼다.삼성보다 더 높은 가치의 오성으로 비유, 조롱삼성이 TV, 핸드폰, 에어컨, 냉장고 등 유사한 품목을 생산하는 창훙에 인수된다는 이야기. 홍콩의 유력방송매체인 펑황(凤凰) 인터넷이 2월 13일 발표한 영화 시나리오다. 웃자고 한 이야기치고는 꽤 그럴 듯하다. 제목도 , 세계 경제계 뉴스 탑을 차지하..
[중국발품취재 2012 - 3] 500년 전 명나라 역참 흔적 그대로 남은 지밍이 허베이 위현 터미널에서 버스를 타고 동북쪽으로 1시간 30분가면 줘루(涿鹿)가 나온다. 치우(蚩尤)의 '탁록대전' 신화로 유명하지만 역사적 근거는 없다. 황제의 성이니 샘이니 포장해 명승지가 있지만 허망한 발길이 되기 십상이다. 오히려 베이징을 떠나 서쪽으로 가는 첫 역참 마을이 있어 발걸음이 가볍다. 현에서 다시 30분 가량 가면 지밍산(雞鳴山)이 나타나는데 역참은 이 산자락 아래 있다.울퉁불퉁하게 바위들이 솟았고 나무 한 그루 없이 민둥산이 길 앞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닭 울음' 우는 산의 이름이 예사롭지 않다. 뭔가 사연이 있을 듯하다. 북위 시대 지리서 에 따르면 기원전 춘추시대 조(赵)나라를 세운 조양자(趙襄子)..
[2012 중국발품취 2] 농촌 먹거리와 종이오리기 공예로 유명한 허베이 위현 허베이 위현(蔚縣)처럼 한 글자 이름의 현은 진나라 군현제의 흔적이다. '2천 년'이라는 세월을 담고 있어 유네스코가 중국 각 지역을 조사해 발표한 '천년고현(千年古縣)' 100곳에 상당수 포함된다. 수많은 단자(單字) 현이 쌍자(雙字)가 돼 사라졌지만, 전국적으로 110개가량이 살아남았다. 독자(獨字) 현이라고도 불리는 현에 가면 그만큼 사람 냄새나는 풍물이 풍부하다. 위현 놘취안구전(暖泉古鎮) 토담 성은 워낙 오래된 고성이니 낡아 쓰러져가는 집도 있다. '이 방 위험하니 주의(比房危險注意)'하라는 팻말도 오래된 '인상'이다. 지붕 서까래가 무너지는 걸 막으려고 삐뚤삐뚤한 통나무 몇 가닥 받쳐둔 것도 안쓰럽다. 대표적인 먹거..
[2012 중국발품취재 ①] 토담으로 지은 옹성, 사원이 있는 허베이 위현 베이징 지하철역 젠더먼(健德門) 북쪽 500미터 지점 베이자오(北郊) 버스터미널에 도착하니 아침 9시가 조금 지났다. 10시에 위현(蔚縣) 행 버스를 무작정 탔다. 2월 18일, 주말에 1박 2일 여행을 떠났다. 행선지를 불문하고 떠나던 게 정말 얼마만 인지. 중국에서도 낯선 곳으로의 여행은 즐겁다. 일행이 3명이나 더 있었다. 약속시간에 맞춰 '이제 일어났어요' 라는 문자를 받았다. 나는 한순간도 주저 없이 혼자 떠났다. 여행지에서 1분이 얼마나 소중한지 일깨워 주려면 무수히 걸려오는 전화도 받지 말아야 한다. 덕분에 무작정 여행을 떠났다. 직선거리로는 베이징 서쪽 160킬로미터, 버스로 4시간이 걸린다. 개혁개방 30년 전부터..
[구이저우 소수민족 취재기 ⑤] 싼두에서 인자이까지 다시 베이징으로 돌아갈 일이 걱정이다. 도로 사정, 교통편이 불확실해 미리 예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단 역으로 가서 기차표를 알아볼 생각이다. 복잡한 거리에서 삼륜차 하나를 잡는다. 어두워서 미처 몰랐는데 운전사가 아이를 안고 있다. 아빠 손 따라 핸들을 잡고 있는 아이가 불안해 보이기도. 뒷자리에 옹기종기 붙어 앉아, 아이 보느라 찻길 보느라 정신이 없다. ▲ 구이딩에서 탄 삼륜차. 아이를 운전석에 태우고 운전한다. ⓒ 중국 소수민족 취재팀 10여 분만에 무사히 도착했다. 역 광장에는 저녁을 먹고 나온주민들이 한바탕 춤을 추고 있다. 중국 대부분 도시는 매일 밤, 무대가 열린다. 이 도시도 예외가 아니다. 대원들이 춤사위에 흥 돋우는 사이, 매표소..
[구이저우 소수민족 취재기 ④] 오지 마을 전레이 여행기 ▲ 구이저우 오지 소수민족 마을에서의 하루 ⓒ 소수민족 취재팀 전레이춘 소수민족 집 대문을 열고 들어서니 어둠 속에서 불꽃이 타오르고 있다. 맨바닥 장작불에 솥이 걸려 있다. 따로 부뚜막이 없는 부엌 대신 훠탕(火塘)이라 부르는 공간이다. 불쏘시개를 부리며 국을 끓이고 있는 여자아이가 벌떡 일어선다. 대청마루에 짐을 풀고 '너 정말 귀엽다' 하며 친한 척 해본다. 수줍어하는 아이, 샤오옌즈(小燕子)다. 10살이니 아직 '어린 제비'라는 뜻. 애칭이다. 제비가 엄마 심부름을 하느라 집안 구석구석을 바쁘게 돌아다닌다. 구이저우 소수민족은 대체로 나무로 만든 3층 구조의 집 댜오쟈오러우(吊腳樓)에서 생활한다. 2층에 침실과 거실이 있고 3층은 농기구와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