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10] 베이징전람관에서 이허위엔 쿤밍후까지 베이징 서쪽 시즈먼(西直门)에는 멋진 베이징전람관이 있다. 많은 전시회가 열리는 곳이고 8월 18일 올림픽기간 올림픽박람회 마지막 날이었다. 정문에서 검색하는 자원봉사자들에게 마터우(码头)가 어디냐고 물으니 잘 모른다. 전람관 뒤쪽에 작은 나루터가 있다고 하니 옆길로 난 길을 따라갔다. 진짜 황제선(皇帝船) 간판이 보였다. 황자위허여우(皇家御河游), ‘황가의 뱃길 유람’에 현혹된 외국인들과 중국인들이 10여명 배를 기다리고 있다. 베이징 시내에 이런 뱃길이 있다는 것이 어쩌면 신기하기조차 하다. ‘황제가 타던 배’ 나루터에는 생각보다 꽤 수량이 많은 하천이 있고 주변을 빙 둘러 고층 빌딩 숲이다. 쾌속정이 빠르게 지나며 물살을 출렁인다. ..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9] 졘커우 장성 북쪽 자락 시자즈생태원 2 졘커우(箭扣)장성 북쪽 방향 정면에는 해발 1534미터인 헤이퉈산(黑坨山)이 가로막고 있다. 등산객들이 자주 찾는다는데 가파른 산세가 장난이 아니다. 베이징 외곽은 동북방향에서 서북방향까지 고산들로 연결돼 있다. 해발 2303미터에 이르는 링산(灵山)을 비롯해 높은 산들로 병풍처럼 가로막고 있다. 우리 나라 남한 땅에서 지리산과 설악산의 최고봉이 해발 1700에서 1900여 미터인 것과 비교해 베이징 시내에서 불과 100킬로 거리에 해발 2천 미터 고산이 있다는 것이 처음에는 믿기지 않았다. 더구나 줄줄이 방어벽 개념의 산성을 쌓느라 동원된 수십만 명의 일꾼들의 고난이 피부로 다가오는 느낌이다. 산 능선을 타고 걷기도 힘든데 말이다. 봉..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8] 졘커우 장성 북쪽 자락 시자즈생태원 1 하늘이 새파랗게 그림을 그리면 만리장성을 가야 한다. 8월 16일 선배랑 차를 타고 베이징 시내에서 80킬로미터 떨어진 시자즈(西栅子)를 찾았다. 징청(京承)고속도로를 달리다가 화이러우(怀柔)현을 거쳐 산으로 난 X005 지방 현(县)도로를 따라 오르고 올랐다. 국도는 G, 성도(省道)는 S로 시작되는데 X로 시작되는 현도는 정말 좁다. 서서히 해발고도가 높아지면서 기온도 점점 낮아진다. 2006년 12월 중순에도 이 길을 지나갔는데 그때의 두자춘(度假村) 분위기가 아니다. 당시는 차 번호를 가린 러브호텔 모습이었는데 지금은 산 중턱 방갈로도 여름휴가를 즐기는 사람들로 바글바글하다. 거리에는 말을 타는 사람도 있고 사륜차를 타고 놀기도 ..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6] 첸먼다제와 다스랄 거리의 '중화라오즈하오' - 쳰먼다제 정양챠오 문화거리 - 쳰먼다제 다스뢀 상업거리 톈안먼광장 남쪽에는 첸먼(前门)이 있다. 황궁 앞을 지키고 선 이 문의 이름은 정양먼(正阳门)이다. 원나라 이래 궁궐 앞, 황궁의 입구인 톈안먼과 정양먼 사이는 행정기관이 있었고 정양먼을 넘어서는 상가 거리가 있었다. 명나라, 청나라 시대에도 이는 변함이 없었다. 정양먼부터 서민들의 놀이터이던 톈챠오(天桥)까지 큰 대로가 있는데 이를 첸먼다제(大街)라 한다. 57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 거리가 오랜 공사를 끝내고 올림픽을 맞아 새롭게 개장했다. 천지가 개벽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확 바뀐 것이다. 불과 2년 전만 해도 무질서하고 온갖 지저분한 도로였으니 공사 중 장막..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5] 민간공예를 전시하는 바이궁팡에서 [뽀뽀하는 조롱박, 탕후루] [매미가 변한 원숭이, 마오허우] 베이징올림픽, 스포츠 천국이다. 4년마다 즐겨 못 보던 경기들이 두루 펼쳐지니 흥겹다. 역시 스포츠는 경쟁이라 어떤 종목이라도 보상이 있어야 국민 모두가 열광하는가 보다. 흥분되지는 않아도 은은하게 맥박이 뛰는 것은 나라와 민족을 불문하고 새로운 문화와 만났을 때가 아닐까. 베이징에서 전통 민간공예와 만나는 것도 이와 같다. 중국올림픽조직위원회와 국가체육총국이 있는 광밍루(光明路)에는 징청바이궁팡(京城百工坊)이라는 민속공예백화점이 있다. 8월 14일, 톈탄둥(天坛东)역에 내리니 약간 비가 내릴 듯하더니 결국 폭우가 쏟아진다. 바이궁팡이 실내이기 망정이지 베이징의 공예품 거리인 판자위..
"재수가 좋고 재물이 들어온다는 자신들의 미신 때문에 다른 나라 사람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가장 더울 때 올림픽 개막식을 하는 중국의 자기중심주의가 앞으로 더 심해질 것이다." - '고재열의 독설닷컴 기사' 인용 ............................................................................................................................................................ 아침에 '고재열의 독설닷컴 기사'의 인용 부분 중 3번째 부분을 보면서 '김문수'라는 사람에 대해 생각했다. 그가 국회의원을 거쳐 경기도지사라는 사실이 창피하고 부끄러워 얼굴이 다 붉어졌다. 아침에 베이징에 있는 한국 사..
[올림픽아웃사이드-4] 무형문화재 바이다청 선생 자택을 찾아서 우연히 텔레비전을 보다가 두 눈 번쩍 뜰 민간예술을 봤다. 베이징TV가 올림픽을 맞아 베이징 고유의 민속, 공예, 기예 등 서민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판중시(盘中戏)라 부르는 '쟁반 위의 공연'을 쭝런(鬃人)이라 부른다. 중(宗)자가 아래에 붙은 복잡한 이 글자도 궁금했지만 쟁반을 두드리면 춤 추는 듯 인형들이 빙빙 돌아다니는 것이 신기했다. 인터넷을 뒤지기 시작했다. 6개월 홀로 여행하면서 중국 인터넷 뒤지는 것에 이골이 났는데도 기사는 많아도 도대체 찾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장소였다.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해결하느라 찾고 또 찾았다. 3년 전 모 신문사 기자가 쓴 기사 중에 5년 전에 이 쭝런 보유자가 스차하이(什刹海) 근처의 둥관팡(东官..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3] 쟈오민샹, 이츠다제, 샤오라바 후통을 가다 - 가장 긴 후퉁 쟈오민샹 - 가장 짧은 후퉁 이츠다제 - 가장 좁은 후퉁 샤오라바 (자막에 샤오라바를 다라바로 잘못) 베이징 후퉁, 골목골목 별의별게 다 있다 지난 8월 4일, 책 을 선물 받았다. 서울에서 오며 가며 읽다가 베이징 행 비행기를 타면 봐야지 하는 생각에 배낭에 넣었다. 취재 일정을 낙서하다가 문득 책을 꺼냈다. 그 동안 그저 눈치만 보던 후퉁에 대해 좀 깊이 들어갈 볼 생각이었는데 때맞춰, 해박한 지식과 관점을 지닌 이 책을 만난 것은 행운이기도 했다. 후퉁은 우리말로 바꾸면 ‘골목’ 딱 두 자. 가장 긴 후퉁, 가장 짧은 후퉁, 가장 좁은 후퉁. 책 내용을 정보 삼아 ‘가장 후퉁’을 찾아가 보자. 위치를 찾고 보니..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