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품취재77] '비바람 속의 텐이거' 도서관에 잠입한 책 도둑 9월 17일, 오후 저장(浙江) 성 닝보(宁波)에 도착했다. 회원 호텔 주소를 확인하니 렌펑루(联丰路)라 한다. 터미널에서 눈대중으로 봐서 별로 멀어 보이지 않았다. 좀 무겁긴 해도 걸었다. 그런데 가도가도 렌펑루 팻말이 나오지 않는다. 지도를 꺼내 다시 봐도 바로 근처인 듯한데 생각보다 멀다. 지도 상 직선거리로는 가깝지만 직선 도로가 없어 약간 돌아가겠지 한 것이 1시간을 걷게 된 것이다. 게다가 가까스로 렌펑루에 접어들었으나 번지수 316호를 찾느라 1호부터 꽤 고생한 셈이다. 이렇게 고생일 줄 알았으면 비도 부슬부슬 내리는데 택시를 탈 걸 후회가 된다. 호텔 체크인을 하고 방에 들어와 짐을 푸니 본격적으로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
스촨 원촨 강진이 발생한지 벌써 46일이 지났다. 베이징올림픽이 남은 시간보다 더 많이 지난 중국이 지진의 상흔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모습이다. 이 과정에서 지난 5월 지진 애도기간 중에 달기 시작한 ‘녹색리본(绿丝带)’이 중국의 새로운 칼라로 부상하고 있다. ‘붉은색의 열정, 녹색리본의 희망(红色的热情,绿丝的希望)’으로 서서히 베이징올림픽으로 달려가고 있다. ‘녹색리본’ 캠페인이 중국사람들에게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유명 포털인 시나닷컴은 지난 16일 한 자동차 회사와 공동으로 ‘햇빛사랑기금(光关爱基金)’을 만들었다. 지진으로 재해를 입어 학교에서 공부하기가 어려워진 아이들을 위한 캠페인이다. 캠페인이 벌어지자 이 모금을 지지하는 네티즌들이 블로그와 게시판 등을 통해 녹색으로 상징되는 희망의 마..
다른 어느 올림픽보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래도 8월 한달 뜨거운 베이징 여름날씨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현장에서 그 뜨거운 현장을 체험하려는 사람들은 베이징올림픽 경기를 중국어로 배워보도록 하자. 아래 도표는 올림픽 일정표인데 왼편 개막식(开幕式, kāi mù shì 카이무스)와 폐막식(闭幕式, bì mù shì 비무스) 아래의 각 경기별로 일정과 오른쪽 숫자는 금메달(金牌, jīn pái 진파이) 개수이다. 중국어는 병음과 성조를 알면 읽을 수 있다. 100% 정확한 발음은 아니지만 영어알파벳과 4개의 성조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으면 어느 정도 읽고 들을 수 있다. 육상 田径 (tián jìng 톈징) : 모두 47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필드경기(田赛, tián sài..
[중국발품취재76] 푸젠 성 푸저우와 저장 성 원저우 9월 11일 푸젠(福建) 성 푸저우(福州)의 아침을 맞았다. 터미널에 가서 다음 행선지인 원저우(温州) 행 티켓을 예매했다. 역사문화 도시라고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아무리 지도를 보고 궁리를 해도 별로 마음에 드는 곳이 없다. 핸드폰 배터리가 고장 났으니 새로 살 겸 시내 번화가 근처의 '삼방칠항(三坊七巷)'에 가자고 결정하고 도로 표지판을 보며 걸었다. 우이루(五一路), 우쓰루(五四路), 빠이치루(八一七路). 보기에도 벌써 역사적 사건이 떠오른다. 도로 이름이 '3.1운동', '4.19혁명', '5.16쿠데타'처럼 사건과 관련됐다고 보면 된다. 기억하기 좋을 것이라고 해서 붙인 것인가, 역사의 교훈으로 정한 것인가. '五一'는 국제노동절, '五四'는..
[중국발품취재75] 장저우 문묘, 마조묘, 자란먀오 푸젠(福建) 성 남부 도시, 국가역사문화도시(国家历史文化名城)이기도 한 장저우(漳州)에 왔다. 시내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신화루(新华路) 거리에는 ‘원창(文昌)’이라는 팻말이 붙은 누각이 서 있다. 부근에 숙소를 정하고 하루 밤을 보냈다. 중국정부는 2007년 9월 전국에 있는 110개 도시를 국가가 관리하는 역사문화 도시로 선정했는데 그 중 한 곳이 장저우이다. 간저우(赣州), 차오저우(潮州)도 선정됐다. 최근 남방의 문화도시를 계속 여행하는 중이니 참으로 행복하다. 장저우 역시 낯선 도시이나 문화도시의 풍모가 곳곳에 남아있어 기대가 크다.다음날인 9월 10일 아침, 역사 문화 거리를 찾아 나섰다. 지도를 살피면서 거리를 걷는데 ‘도관고금(道冠古今)’..
[중국발품취재74] 차오저우 성벽, 자띠샹 골목, 당나라 시대 사원 9월 8일 아침 8시 30분 버스를 탔다. 간저우(赣州)에서 광둥(广东) 성 차오저우(潮州)까지, 대충 봐도 지도로는 5시간이면 도착할 거리다. 그런데 10시간이나 걸렸다. 교통사고가 나서 길이 막힌 것도 아니고 버스가 고장이 나지도 않았다. 도로 사정이 좋지 않고 그야말로 꼬불꼬불한 산길을 넘어가니 빨리 달릴 수가 없다. 게다가 중간에 정차하는 곳은 왜 그리 많은지.간저우 시내부터 중간 정류장을 거치더니 국도를 지나면서는 마을이란 마을은 다 서는 듯했다. 사람들이 내리고 또 타고, 완전 완행 버스다. 신펑(信丰)을 지나고부터는 도로 사정이 아주 열악하다. 안위엔(安远)을 지나면서 가파른 산길들로 접어들더니 성 최남단 도시인 쉰우(寻乌)..
[중국발품취재73] 간저우 커자와 부교, 송나라 성벽, 장징궈 옛집 9월 7일 오전 장시(江西)성 남단 도시 간저우(赣州) 우룽춘(五龙村)에 있는 커자위엔(五龙客家园)를 찾았다. 가까운 거리이긴 하지만 시골 촌이라 버스편도 까다로워 택시를 탔다. 지도를 보니 택시가 멀리 돌아가는 느낌이다. 넓은 도로가 새로 조성됐다고 한다. 도착해서 보니 한참 도시개발이 진행되는 곳이다. 시 동남부 쪽에 있는 커자위엔 역시 새로 공사를 하고 있다. 정문 입구부터 공사 중이라 그런지 입장료도 받지 않는다. 작은 다리 하나를 건너 오른편으로 커자 민가 이름인 룽쥐웨이(龙居围) 한 채가 보인다. 이곳은 광둥(广东) 메이현(梅县) 바이궁진(白宫镇)에 있는 민가 원형을 그대로 본떠 만들었다고 한다. 제19차 세계 커자 회의(世客..
지난 6월 3일부터 약10일간 베이징을 다녀왔다. 사람들도 만나고 올림픽 관련해 몇가지 아이디어도 찾으려고. 올림픽을 맞아 베이징 셔우두(首都) 3호 공항이 문을 연 것은 알았지만 동양 최대라고 자랑하고 있는 그 규모를 보고 놀랐다. 각 항공사 별로 1,2,3호선 도착, 출발이 서로 다르고 인천공항을 오가는 대한항공, 아시아나, 중국국제, 남방, 동방을 타는 분들은 미리 알아둬야 할 듯 싶다. 신공항은 중국국제(CA)와 아시아나(OZ) 이번에 베이징 갈 때는 동방(MU)를 타고 2호 공항(기존 공항)에서 내려 일행과 함께 시내로 가려고 3호 공항 가서 잠시 보긴 했는데 돌아올 때 중국국제를 타고 오느라 신공항으로 수속하고 모노레일 타고 이동, 다시 깔끔하고 웅장한 신공항의 내부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