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람들은 개구리를 '논에서 나는 닭고기'라고 부르며 즐겨 먹는데 베이징 류리창(琉璃厂) 부근 식당에서 이 개구리 요리를 먹었습니다. 예전에 찍어두고 글을 쓰려다가 놓친 글입니다. 최근에 갔을 때에도 여전히 성행 중이었는데, 그 이름이 라오쉬지(老浒记)입니다. 여기서 记라는 말을 상호로 쓴 것이 아주 특이합니다. '지'는 기(記)의 중국 발음이고 간체입니다. 중국 광둥성을 비롯해 남방 지역에 가면 점포나 식당에 일률적으로 많이 쓰는 말인데, 베이징 한복판에도 이렇게 써 있습니다. 사실, 이 글자는 명나라 시대부터 주인의 이름이나 지명에 더해 쓰기 시작한 것이라고 합니다. 물론, 청나라 말기부터 서양인들이 중국으로 들어오면서 식당 등이 활성화되면서 이 글자는 성행하게 됐다고도 합니다. 하여간, 라오쉬(老..
추천 코너가 있어서 여러모로 고민했습니다. 제 스타일이 남들 글을 별로 잘 읽지 않기에 추천 자격이 있을까 고민했습니다. 이런 방식의 추천 시스템은 오류의 소지가 많고, 진정으로 어워드로서 신뢰성이 있을까도 염려하기 때문입니다. 처음에 다음블로거로 포스팅할 때부터 매년 무슨 '베스트', '어워드' 등에 무관심했는데, 그것은 아마도 블로그뉴스의 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 있어서 일 것입니다. 블로그뉴스를 긍정적, 본질적으로 동조하면서도 미디어적 가치, 즉 뉴스로서의 가치인 공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을까 등등에 대해 걱정이 많아서 입니다. 노파심이겠지만, 블로그뉴스는 뉴스가치의 기준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는다면 오히려 매너리즘에 굴복해 새로운 진화, 늘 창조적인 변화로 가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합니다..
베이징올림픽이 막 끝난 8월 30일, 지인들이랑 산천어라고도 하는 아메리칸연어 양식장으로 생선회를 먹으러 갔습니다. 베이징 왕징(望京)에서 차를 타고 동북방향 외곽으로 약 1시간 정도 빠져나가면 계곡에서 흘러나온 물이 작은 하천을 이루는 곳에 양식장이 있습니다. 연어를 써는 주인 아주머니의 솜씨가 정말 웃깁니다. 사실, 이곳에서 생선회를 떠서 먹는 사람은 우리밖에 없습니다. 중국사람들은 날 것으로 생선을 거의 먹지 않기 때문에 회 뜨는 것을 대체로 모릅니다. 회 뜨는 방법을 알려준 덕택에 우리가 신선한 회를 먹을 수 있긴 한데, 약간 어설픕니다. 재미있는 것은 거의 생선을 뜯는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접시에는 생수병 두 개를 가지런히 놓고 사이사이에 얼음을 채운 후 그 위에 랩을 씌운 다음 그 위에 생선..
베이징 외곽 어느 단골 양어장에 자주 갑니다. 지난 베이징올림픽 당시 지인들이랑 함께 갔는데 이 양어장에는 개와 오리도 함께 기르고 있습니다. 물론 먹지요! 방목하는 오리들이 이리저리 꽥꽥꽥 거리며 왔다갔다 합니다. 수백마리도 더 되는 오리 떼들이 양어장 옆을 흐르는 작은 하천으로 줄줄이 헤엄쳐 들어가고 있습니다. 맑게 흐르는 하천 위를 떠다니면서도 꽥꽥꽥 하도 시끄럽게 울어대니 천지가 진동합니다. 오리들과 함께 살아가는 멍멍이들입니다. 다행히 줄을 맸고 우리 속에 가뒀습니다. 그렇지 않았다가는 오리들은 완전 개들 밥 될 겁니다. 우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멍하니 바라보고만 있습니다. 혹시라도 어떻게 안될까 기대하는 눈치인가요? 아니면 때가 됐는데도 먹이를 주지 않는 주인을 기다리는 것인가요? 오리 셋이 모..
베이징 왕푸징(王府井)에 가면 샤오츠제(小吃街)가 있습니다. 샤오츠는 길거리에서 먹는 먹거리이거나 간식과 같은 간단한 요기를 뜻합니다. 중국 곳곳의 유명한 명물 먹거리들이 잔뜩 다 모여있는 곳인데 가끔 가면 아주 재미있습니다. 여행객들을 왕푸징에 풀어놓으면 한번 그저 지나치고 말지만 역사나 문화에 관심이 많으면 곳곳에 흥미로운 것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라오베이징(老北京) 먹거리 하나가 눈에 띱니다. 바로 예전에도 소개한 적이 있는 바오두(爆肚)라는 요리입니다. 2008/08/21 - [중국발품취재/-올림픽아웃사이드] - 베이징 서민들의 먹자골목 맛보세요! 바오두는 소고기와 양고기의 내장을 소재로 회교도들이 먹던 전통음식이었는데 청나라 말기에 베이징을 중심으로 대중적인 서민들의 먹거리로 발전했습니다. 내..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