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유동굴인 쥬샹(九乡)은 오색찬란한 조명을 받은 종유석들이 신비한 자태를 드러내고 있다. 동굴 속에 이처럼 아름다운 모습이 숨어있을 줄 누가 알았으랴. 동굴을 빠져나와 케이블카를 탔다. 연인들의 다정한 모습이 부럽다. 동굴 속을 열심히 관람하고 있는 사람들도 보인다. 우리 일행은 쿤밍으로 되돌아오는 도중에 길거리에서 무를 샀다. 한바구니에 10위엔 정도. 막 밭에서 끌어낸 무가 아주 싱싱해보인다. 그리고, 해발 2천미터가 넘는 윈난 쿤밍의 농촌 풍경이 정겹기도 하다.
윈난 쿤밍 부근에는 엄청나게 큰 종유동굴인 쥬샹(九乡)이 있다. 마침 비가 내려 동굴로 쏟아져 들어가는 강물이 폭포보다 더 세차다. 동굴 안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모습도 가히 폭발적이다. 그 빛깔이 붉은 듯도 하고 누런 듯도 하다. 엄청난 굉음을 내면서 뿌리는 물소리를 따라 동굴 속으로 들어가는 발걸음은 마치 고고학자가 신비한 동굴에 처음 발을 내미는 듯한 기대가 생긴다. 동굴 속은 조명에 비친 종유석들이 아름답게 자리잡고 있다. 동굴 속에 아주 넓은 광장이 나타난다. 아주 오래 전에 이곳에서 살았을 법한 원시인들 조각상이 인상적이다.
스린(石林)은 바다 땅이 융기해서 만들어진 곳, 그래서 기이한 암석들이 숲을 이뤄 아름다움을 마음껏 뽐내고 있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은 연신 스린의 모습에 반해 돌들을 만져보기도 하고 사진을 찍기도 하고 그런다. 게다가 이곳은 중국 소수민족 중 하나인 이족(彝族)의 터전이기도 하다. 그래서, 소수민족 복장을 입고 폼을 짓기도 한다. 스린도 멋지지만 이런 사람들의 모양도 참 예쁘다. 한편, 스린에 비가 내리니 호수에 고인 물이 더욱 불어났다. 물고기를 잡는 사람들의 모습도 쉽게 볼 수 있는 장면이 아니다. 어른 팔뚝만한 물고기들이 그물을 들어올릴 때마다 한마리씩 나타난다. 주위 시선에 전혀 아랑곳 하지 않은 채 팬티만 입고 물고기를 잡는 사람들 모습도 꽤 재미있다고 할 만하다.
7월 30일, 아침부터 비가 내릴 듯 찌푸린 날씨였는데 중국 윈난(云南) 쿤밍(昆明) 부근 스린(石林)에 도착하니 비가 세차게 쏟아지기 시작했다. 아주 오랜 옛날, 지금의 지구 모습이 생기기 전 바다가 융기한 곳 스린. 2억8천년 전 바다의 모습이라 하니, 생생하게 지켜보려는데 비옷 입고 우산 쓰고 시야가 불편하다. 그렇지만, 거대한 돌들이 숲을 이룬 듯 모습을 보여주는 아름다운 장관은 비가 내리니 더욱 맛갈스럽다. 돌의 숲을 거니는 것인지, 바다 속을 거니는 것인지 애매한 느낌이 드는 것은 빗물의 조화때문이다. 바위 속을 헤집고 다니면서 카메라와 캠코더를 꺼냈다 넣었다 두어시간을 반복하면서 스린의 장엄한 광경을 세심하게 보았다.
베이징 올림픽 개막이 거의 다 됐다. 지난번 베이징 3박4일 자유여행 즐겨찾기 이후 중국발품취재 중 마지막 도시 베이징에 대한 영상과 사진을 묶었다. 왕푸징은 천안문광장 부근 우리나라 명동처럼 번화하고 서점, 백화점(호화 및 보통), 시장과 호텔, 성당, 공예품가게 그리고 동화문 미식 포장마차 거리가 있다. 이곳은 이미 우리 언론 등에 꽤 소개된 편이기도 하고, 패키지 여행 중 단골코스 중 하나이다. 이곳에는 전국 각지의 다양하고 희한하면서도 독특한 각종 먹거리의 총집합체인데 사실 사람들이 그 이름에 낯선 편이다. 물론 딱 보면 재료가 무엇인지 알 수 있긴 하지만 때로는 생판 모를 것도 많다. 영상을 보면서 간단하지만 자막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혹시, 왕푸징에 가면 사 먹으려면 이름을 알아야 ..
초저녁에 커다란 팽이를 때리며 사람들을 끌어모으던 구이양(贵阳) 자슈러우(甲秀楼) 앞 작은 광장이 밤이 깊어지니 반짝거리며 빛을 내는 팽이들이 돌아가는 모습으로 시끌벅적이다. 중국 곳곳,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원들마다 이런 팽이들을 파는 사람들로 법썩이다. 그런데, 야경 분위기가 멋진 곳이어서 그런지 시끄럽긴 하지만 낭만적이다. 붉고 파랗고 노랗고, 천연의 빛을 뿜으면서 돈다. 야광으로 빛나고 빠르게 돌수록 더욱 그 빛이 진하다. 게다가 팽이를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니 더욱 색다르다. 팽이 여러 개가 함께 돌면 혼돈스럽지만 그 형형빛빛이 황홀하기도 하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