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13억과의 대화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13억과의 대화

검색하기 폼
  • 13억과의대화 (1571)
    • 공지|프로필 (27)
    • 중국문화여행 (0)
      • 동행인솔 (0)
      • 발품답사 (0)
    • 여행 후기 (256)
    • 매체기고 (453)
      • 한국일보발품기행 (147)
      • 농심음식여행 (60)
      • 오마이뉴스 (182)
      • 매체연재완료 (59)
    • 중국역사문화강좌 (120)
      • 공개강좌 (18)
      • 출간도서 (22)
    • 차이나는발품기행 (2)
    • 방송영상 (344)
      • 영상차이나 (274)
      • 한겨레TV차이나리포트 (52)
      • TVIS 일단출발 (4)
      • ebs세계테마기행 (8)
      • 천하무림기행 (6)
    • 중국대중문화 (48)
    • 라이프차이나 (232)
      • 여우위에칼럼 (16)
    • 취재인코리아 (89)
  • 방명록

전체 글 (1571)
중국, 미국, 일본의 마작 한 판이 열리는 박물관

닝보 사람인 그는 청나라 함풍제(咸丰帝) 시대 영국 외교관들에게 마작을 알려주고 함께 즐기기도 했다고 한다. 마작은 그 놀이할 때 쓰는 말이나 방법이 새를 잡는(捕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성패(成牌)가 되는 상태를 ‘후(糊)’라고 하는데 이것은 새를 잡아 기른 매를 이르는 ‘후(鹘)’와 발음이 같은 씨에인(谐音)이다. 부딪친다는 ‘펑(碰)’, 먹는다는 ‘츠(吃)’도 다 그렇다는 것이다. 이런 방법을 정립한 사람이 바로 진정약이다. 그가 어느 날 골패로 놀이를 하고 하던 중 생겨난 패의 모습을 마작(麻雀)이라 썼는데 이 글자의 닝보 방언으로 ‘마장(麻将)’이라 한 데서 중국에서는 지금도 굳어진 것이라 한다. 일본에서는 건너간 ‘마작(麻雀)’은 다시 우리나라로 옮겨오면서 이 발음을 유지하는 것이 아닐..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9. 18. 22:43
비바람 속 톈이거 도서관에 잠입한 책도둑을 생각하며

닝보의 톈이거는 동양애서 가장 오래된 사설도서관으로 건륭제의 인정을 받는 영예를 얻었지만 신해혁명 이후 상인과 결탁한 희대의 대도에 의해 도둑을 당한다. 도서관 안에는 1925년에 닝보의 금융거부(钱业巨子)이던 친지한(秦际瀚)이 세운 진씨(秦氏) 집안의 사당(祠堂)이 한 채 나타난다. 자세한 내용 -> '비바람 속의 텐이거' 도서관에 잠입한 책 도둑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9. 18. 20:49
비 내리는 호반을 지나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도서관으로 가는 길

저장성 닝보 시내 위에후에 도착하니 비가 세차게 퍼붓는다. 호수 위로 비가 쏟아지며 점들을 만들고 있다. 도로는 점점 물에 잠기기 시작해 무릎까지 다 젖을 판이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도서관 텐이거를 찾아가는 길이다. 비 내리는 호반에는 차박물관, 불교사원과 정자가 멋지다. 톈이거는 천일생수(天一生水), 만물은 물로부터 생겨났다는 역경에 나오는 말로 작명했다. 그래서일까. 정말 많은 비가 왔다.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9. 18. 18:40
부산비엔날레 온더비치의 영상과 사진

지난 4일 베이징에서 바로 부산으로 와서 머물고 있다. 추석까지 머무르는데 어제(9월10일) 오랜만에 광안리 해변을 찾았다. 광안리 해수욕장에는 부산비엔날레 바다미술제 '온더비치' 설치조형물이 곳곳에 있다. 부산의 해변, 늦여름에서 가을을 지나 초겨울까지 이어지는 '온더비치'가 바다, 하늘, 파도, 모래 속에서 예술적 감성 또는 사람들과의 소통을 만들어내고 있다. 해변에 설치된 조형물들을 사진과 영상으로 담았다. 유물(The relic), 김미애, 나무 모래 콘크리트 당신의 마음 안에서(In your heart), 이상길, 스테인레스 스틸 벤치구조물 바람의 주문(The Magic Fomula of Wind), 홍현숙, 비닐 스텐봉 시네마 해변(Seaside cinema), 손한샘, 대나무 아시바 무구 방..

취재인코리아 2008. 9. 11. 18:23
천년고찰 안에 있는 ‘가장 예쁜 찻집’을 가다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13] 다쥐에쓰에 있는 밍후이차위엔 - 천년고찰 다쥐에쓰의 은은한 퇴색과 사라수 - 천년고찰 안에 있는 '가장 예쁜 찻집' 모습 신화서점에서 베이징에 있는 전통찻집을 소개하는 책을 찾았다. 차 마시며 한담하는 곳도 많지만 민속공연을 겸하기도 하고, 술을 함께 팔기도 한다. 그 중 환경이 ‘가장 예쁜 찻집’을 꼽으라면 밍후이차위엔(明慧茶院)이라 했다. 책 제목도 저자도 잊었지만 찻집 이름만은 또렷이 노트에 적어둔 채 며칠이 지났다. 올림픽이 막바지로 접어들 즈음 갑자기 찻집이 생각났다. ‘얼마나 예쁠 길래?’ 지도를 보니 베이징 시내에서 한참 멀다. 상디(上地) 지하철역에서 버스를 타면 1시간 30분 정도 걸릴 듯하다. 마침 하늘도 파랗게 변한 어느 날, 선배에게 ‘가장 예쁜 찻집 ..

매체기고/오마이뉴스 2008. 9. 10. 18:21
수도 베이징에서 만난 유교의 향기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12] 옛 대학 국자감과 공자의 사당 - 원,명,청의 최고학부 - 공자의 사당 원, 명, 청 삼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궈즈졘(国子监)은 라마사원인 융허궁(雍和宫)과 차길 하나를 건너 있다. 또 공자의 사당인 쿵먀오(孔庙)와는 담을 사이에 두고 있다. 융허궁 역에서 내려 남쪽으로 내려오는 거리 양 편에는 긴 향을 파는 가게들이 즐비하다. 대부분 사람들이 융허궁의 매력을 보러 오기 때문이다. 예전에 융허궁을 찾아갔을 때 사원의 멋진 모습을 떠올리며 반대편 골목으로 접어들었다. 융허궁이 대로 옆에 있는 반면 유교의 향기를 맡으려면 안으로 한참 들어가야 한다. 거리에는 마작과 트럼프 놀이를 하는 사람들도 있고 알이 주먹만한 장기를 두는 사람들도 있다. 높다란 청셴제(成贤街) 패방을 지나면 ..

매체기고/오마이뉴스 2008. 9. 7. 08:44
호수에 잠긴 붉은 노을과 둥근 달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11] 라오베이징 허우하이의 노을과 야경 베이징 시내 한가운데 호수가 있으니 낭만적 그림자가 많다. 아침부터 밤까지 호수에는 라오베이징(老北京)의 빛깔 같은 사람들로 잔잔하다. 허우하이(后海)는 그렇게 포근한 정서를 담았는데 관광객들까지 합세하면 그 모습은 점점 물결이 높아지듯 그 분위기가 격앙되기도 한다. 8월 15일 쭝런(鬃人) 바이다청(白大成) 선생 집을 나서 호반을 향해 걸었다. 급할 마음이 어디 있으랴. 늦은 오후, 골목마다 저녁을 먹었거나 먹을 시간에도 사람들의 여유는 포만감이 인다. 물길이 서로 연결된 쳰하이(前海), 허우하이(后海), 시하이(西海)를 합해 스차하이(什刹海)라고 하는 곳, 원래 10곳에 이르는 불사(佛寺)가 있었기에 스차하이(十刹海)라 불리기도 했다. ..

라이프차이나 2008. 8. 31. 23:48
중국 국도에서 불 타는 버스를 목격하다

오늘(8월29일) 오후 5시30분경(한국시간) 후베이(湖北) 이창(宜昌)을 지나는 318번 국도에서 버스가 불 타는 사고가 났습니다. 버스가 불 타는 모습을 영화 '실미도'에서나 봤지, 처음 보는 것이라 당황스러웠습니다. 사람들은 어떻게 됐을까, 허구헌날 버스 타고 돌아다니며 중국발품취재하는 사람으로서는 간담이 서늘한 것이지요. 이창은 싼샤따빠(三?大?), 장강 삼협댐으로 유명한 도시입니다. 소수민족인 투쟈(土家) 족이 거주하는 싼샤런지아(三?人家) 풍경을 보고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목격한 장면입니다. 언뜻 창 밖으로 빨간 불꽃이 피어오르는 모습이 보이자 버스에 탔던 사람들이 일제히 일어났습니다. 도로 한가운데 불 타고 있는 버스가 보인다는 것입니다. 한 사람이 우리 차 저 길을 지나가냐고 묻자, 기사가..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8. 29. 23:57
이전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97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중국발품기행 답사 동행 방문 흔적
  • 최종명 CHOI JONGMYUNG 崔钟名
  • 13억과의 대화 - 프로필
  • 중국발품취재 180일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 페이스북(최종명)
  • 중국문화여행 밴드
  • CHINATV-YouTube
  • EBS세계테마기행
Total
Today
Yesterday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