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13억과의 대화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13억과의 대화

검색하기 폼
  • 13억과의대화 (1571)
    • 공지|프로필 (27)
    • 중국문화여행 (0)
      • 동행인솔 (0)
      • 발품답사 (0)
    • 여행 후기 (256)
    • 매체기고 (453)
      • 한국일보발품기행 (147)
      • 농심음식여행 (60)
      • 오마이뉴스 (182)
      • 매체연재완료 (59)
    • 중국역사문화강좌 (120)
      • 공개강좌 (18)
      • 출간도서 (22)
    • 차이나는발품기행 (2)
    • 방송영상 (344)
      • 영상차이나 (274)
      • 한겨레TV차이나리포트 (52)
      • TVIS 일단출발 (4)
      • ebs세계테마기행 (8)
      • 천하무림기행 (6)
    • 중국대중문화 (48)
    • 라이프차이나 (232)
      • 여우위에칼럼 (16)
    • 취재인코리아 (89)
  • 방명록

전체 글 (1571)
몸매 늘씬한 아가씨들이 많은 충칭 시내 중심가에서

중국 여행을 다니다 보면 참 몸매가 예쁜 아가씨들을 가끔 본다. 물론 다른 나라 아가씨들에 비해 단순 비교하기가 좀 그렇지만, 중국 아가씨들은 늘씬한 다리 하나는 정말 타고난 듯하다. 중국 곳곳의 시내는 대체로 다 다녀봤는데, 아마도 충칭(重庆) 시내가 그런 늘씬한 아가씨들이 가장 많지 않은가 생각이 든다. 여행 길에서 만난 한국 남학생들에게 이야기 했더니 모두들 ‘충칭이 어디에요? 거기 갈래’ 하더라. 후후 하여간, 7월 14일 위중구(渝中区) 번화가를 기분 좋게 걸었다. 한편, 신화서점(新华书店) 앞에는 과외지도를 원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즉석에서 거래가 이뤄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영어를 비롯 전 과목에 걸쳐 아이들을 지도해줄 가정교사 학생을 찾는 것이다. 학생들은 자쟈오(家教)라는 팻말을 들고..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7. 14. 18:12
케이블카를 타고 노을과 어울린 장강 모습을 보다

장강 아래에서 바라본 장강 케이블카도 멋지고 장강 케이블카를 타고 바라본 장강도 역시 멋지다. 노을 지는 하늘과 장강이 어울리니 충칭(重庆)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색다른 광경이기도 하다. 충칭 일일여행 코스 중 하나로 꼽히는 쿵중여우(空中游)라 하니 타볼 만하다. 장장 1,166미터의 거리이고 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건설되어 산성(山城) 또는 강성(江城)이라 불리기도 한다. 하늘을 나는 비행기도 보이고, 강을 따라 오르내리는 화물선도 보인다. 장강을 바라보며 사는 사람들의 모습도 보이고 강 주변을 따라 조성된 다양한 형태의 건물들도 눈요기로 좋다. 노을 지는 강은 누런 장강을 불그스레하게 바꿔준다. 색이 조화를 이루니 더욱 붉은 빛을 띠는 듯하다. 붉은 듯 누렇고, 누리끼리하면서도 붉다. 어떻게..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7. 14. 18:10
충칭의 교통수단이고 관광코스인 장강 케이블카를 타고

충칭(重庆) 시에는 두 개의 강이 흐른다. 시내 중심인 위중구(谕中区)를 남쪽으로 감아 도는 장강(长江)과 북쪽으로 지나가는 창쟝 지류인 자링강(嘉陵江)이다. 그래서 충칭량쟝(重庆两江)이라 하고 중국의 야경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다고 평가되는 야경투어가 있기도 하다. 두 강 모두 케이블카가 있다. 시내 중심에서 10분 정도 걸어서 창장숴따오(长江索道)를 타러 갔다. 케이블카(缆车)가 시내에 시 남부를 연결하는 대중교통로인 것이다. 강 수면에서 약100미터 정도 높이이니 꽤 높다. 약간 불안하기도 했다. 가끔 정전 등으로 고립되기도 한다는데 말이다. 그런데, 정말 멋지다. 연간 20만 명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지만 대부분 관광객들이라 한다. 1987년부터 운행이 되었으니 꽤 오래됐다. (쟈링쟝 케이블카는 19..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7. 14. 18:07
복원된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의 깨진 유리창 하나

우루무치(乌鲁木齐)에서 캠코더 고장으로 ‘우울 무지’하다가 시안(西安) 거쳐 베이징(北京) 들러 캠코더 수리 맡기고, 다시 충칭(重庆)에 왔다. 7월14일 오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를 찾았다. 택시기사들은 대부분 어디에 있는 지 모른다. 5대 모두 다시 택시에서 내렸다. 그래서 지도를 샀다. 인터넷에서 롄화츠(莲花池)라는 곳에 있다고 본 기억이 나서 지도에서 열심히 찾았다. 꼼꼼히 보고 또 10분이나 지나서야 겨우 발견했다. 택시도 잘못 내렸는데, 아는 사람이 없다. 겨우 이곳을 아는 한 아주머니를 만났는데, ‘어제도 똑같이 묻는 한국사람이 있었다’고 했다. 후후 나랑 똑같이 헤맨 사람이 있었구나. 하여간, ‘渝中区 莲花池街’만 보고 찾기에는 약간 고생스럽다. 민셩루(民生路) 큰길에 있는 표지판을 보고 ..

방송영상/영상차이나 2008. 7. 14. 18:04
아저씨들의 삼겹살 매운탕 수다

임진강 근처 강변에서 삼겹살 구워 먹고 매운탕 끓여 먹고 아저씨들의 수다가 지루한 듯 해도 살아가는 이야기라 그런지 웃기면서도 독특하네요. 옛날 부엌에 있던 큰 가마솥 두껑에 참숯으로 달궈 삼겹살을 구우니 정말 맛이 좋네요. 민물고기 잡아서 끓인 매운탕 맛도 좋고요. 동창이나 친구사이에서 흔히 오가는 이야기... 주말을 맞아 아저씨들끼리 이 무슨 별난 나들이인가.

취재인코리아 2008. 7. 12. 17:47
'베고니아' 먹으며 '야광배'에 술 따르고

[중국발품취재86] 수저우 1 - 줘정위엔, 스즈린, 산탕제 10월 1일 수저우(苏州)에 도착한 때는 정오가 약간 지난 시간이었다. 터미널에 내리니 여행을 가는 사람과 오는 사람들로 발 내디딜 틈도 없다. 1주일 연휴가 시작됐으니 한바탕 혼잡을 각오해야 한다. 마침 하천을 건너 터미널 맞은 편에 내가 찾는 호텔이 보였다. 미리 예약을 하지 않았는데 방이 있을까. 염려와 달리 빈 방이 하나 있다. 다만, 오늘 하루뿐. 내일은 오래 전에 예약이 끝났다고 한다. 짐을 풀고 서둘러 밖으로 나섰다. 수저우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 받은 정원을 군락처럼 형성돼 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줘정위엔(拙政园)을 먼저 찾았다. 걸어서 20분 거리다. 산뜻한 거리이면서 차분한 모습이 격조가 높다. 입구를 들어서니 연꽃이 핀..

매체기고/오마이뉴스 2008. 7. 12. 12:19
한겨레 인터넷 메인에 링크된 블로그 기사!

사진전을 취재한 인연으로 한겨레 신문사의 필통(블로그)에 개설했고 한겨레 인터넷의 메인화면에 소개됐네요. ^_^ 언론사에 하나쯤 블로그 활동을 할 생각이었는데, 마침 한겨레와 기분 좋은인연이 시작됐네요. 좀더 뉴스다운 블로그를 운영해볼까 합니다만.... 한겨레 13억과의 대화 블로그 http://blog.hani.co.kr/youyue/

공지|프로필 2008. 7. 11. 17:44
베이징 다산즈 798 예술의 거리 스케치

공장지대이던 베이징 다산즈, 798 예술의 거리 사진 스케치 앞으로 베이징올림픽이 한달도 채 남지 않았다. 올림픽을 전후해 베이징의 역사와 문화, 생활과 사람들에 대한 뉴스가 넘쳐날 것이다. 나는 베이징에 있을 때 가장 베이징답지 않으면서도 가장 즐겨 갔던 곳이 다산즈(大山子)에 있는 798예술의 거리이다. 이곳은 이미 우리 언론에도 보도된 적이 있고, 베이징올림픽 환경 미화 차원에서 철거가 예정됐으나, 이곳에 입주한 가난한 예술가들과 시민들의 항의와 시위가 벌어져 언론의 주목을 받았던 곳이기도 하다. 1960년대 이후 냉전의 산물, 군수공장지대가 세월이 흘러 이제는 예술가들의 작업실 겸 갤러리로 변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 이곳에 간 것이 2005년, 그때는 사진작가 시에하이롱(谢海龙)의 '희망공정..

매체기고/오마이뉴스 2008. 7. 10. 23:48
이전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197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중국발품기행 답사 동행 방문 흔적
  • 최종명 CHOI JONGMYUNG 崔钟名
  • 13억과의 대화 - 프로필
  • 중국발품취재 180일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 페이스북(최종명)
  • 중국문화여행 밴드
  • CHINATV-YouTube
  • EBS세계테마기행
Total
Today
Yesterday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