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몽고 초원에서 말을 타는 것은 그다지 유쾌해 보이지는 않는다. 1시간 말 타는 것도 엉덩이가 아주 아플 지 모른다. 마구 달려보고 싶지만, 말은 주인 말만 듣는데, 주인은 안전 위주로 말들을 다룬다. 터벅터벅 말과 함께 초원을 거니는 것이 내몽고 초원의 즐거운 체험이긴 하다. 초원에서 활쏘기를 하는 몽고족들의 선한 눈빛이 좋다. 저녁만찬은 여행객들이 모두 어울려 포식을 한다. 주문한 양고기 바비큐도 맛 있고 노래의 향연도 흥미롭다. 양고기 한마리를 주문하면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다.
몽고 시라무런 초원에 도착, 우리 일행은 모터 달린 자동차를 탔다. 초원이나 사막을 달리는 이 터프한 자동차는 비교적 안전해 보인다. 20여분 달리는 동안 길도 달리고 길 아닌 곳도 달렸다. 온 사방이 확 트인 벌판, 초원을 달리는 기분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상쾌하다. 8명 일행이 탄 자동차 중 한대가 고장 나서 약간 지루하긴 했지만 속력을 줄이라는 요청을 무시하고 신나게 달려도 좋다. 내몽고 초원에서 말을 타는 것보다 더 재미있는 모터자동차.
오후에 넓은 초원에서는 몽고족(蒙古族)의 전통문화를 보여줍니다. 말 달리기 경주가 벌어집니다. 손님 중에 한 팀이 전통복장으로 갈아입고 큰 깃발을 휘날리면 경주가 시작입니다. 가장 빨리 달린 1등에게 손님은 100위엔을 하사합니다. 몽고씨름도 보여줍니다. 씨름을 시작할 때 독특한 구호와 함께 몸동작이 특이합니다. 예선을 거쳐 최종 결승까지 이어집니다. 우리 씨름과 약간 다른데 그 기술 구사는 비슷해 보였습니다. 샅바가 없기는 하지만. 순박해 보이는 청년들과 함께 말경주도 보고 씨름도 보니 그들과 함께 하는 공감이 느껴져 초원에 온 보람이 서서히 생기기 시작입니다.
몽고바오에서 하루를 묵으러 내몽고 초원으로 갔습니다. 3시간 가량, 높은 산을 넘고 초원을 달려 도착한 곳은 약간 상업화된 민박촌입니다. 몽고족 풍습처럼 손님이 오면 징쥬(敬酒)를 주고, 손님은 몽골족 풍습으로 답례를 합니다. 초원집 몽고바오에는 각 방마다 칭기스칸의 초상화가 걸려 있습니다. 맛 있는 양고기에 점심을 푸짐하게 먹었습니다. 전통악기 마터우친(马头琴) 연주와 함께 몽고바오에 온 손님들인 우리들. 계속 눈길을 끈 마터우친은 중국 중원의 한족 전통악기인 얼후(二胡)처럼 두 줄 현악기인데 얼후보다 훨씬 아름다운 소리를 내고 있으며 말 머리 모양의 문양이 이채롭습니다.
새해 1월3일 산동성으로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웨이하이(威海)와 룽청(荣成)은 산동반도 제일 오른쪽 끝자락에 있으며 우리나라와 제일 근거리에 있는 도시들입니다. 최근에는 웨이하이에 인천공항에서 뜨는 직항로가 생겨 편하기도 합니다. 비행시간만 45분이니 정말 가깝지요. 지난 6일 엄청난 폭설이 왔습니다. 룽청의 한 호텔에서 아침에 일어나보니 세상이 온통 새하얀 눈으로 덮혔습니다. 눈이 잘 오지 않는 도시에 폭설이 오니 사람들이 정신이 없습니다. 비행기를 타야 하는데 정말 난감한 일이었지요. 한국에서 이륙하는 비행기가 웨이하이 공항에 도착한 후 그 비행기로 다시 한국으로 들어가야 하니 우리 판단으로는 빨리 한국에 전화를 하자는 것이었습니다. 웨이하이 공항이 오전 10시까지 폐쇄라 비행기가 인천에서 출발하지 ..
[중국발품취재71] 세계문화유산 루산 9월 4일 눈을 뜨고 창문을 여니 여전히 덥다. 30℃는 넘는 듯하다. 더위에 약간 지친다. 어제 하루를 밖에 나가지 않고 호텔에서 두문불출했는데 몸도 굳은 듯하고 다시 남쪽으로 가야 하니 왠지 좀 게을러진 듯 느릿느릿 일어났다.후베이를 떠나 장시(江西) 성 최북단의 져우장(九江)으로 향했다. 다른 성으로 가는 길은 늘 멀다고 느껴지는데 사실 3시간 거리니 아주 가깝다.져우장에 이르니 약간 날씨가 흐리다. 그래서인지 기온이 좀 내려간 듯하다. 다시 세계문화유산인 루산(庐山)으로 가려면 버스를 갈아타야 한다. 10인승 정도 되는 버스가 손님들을 기다리고 있다. 10분 정도 기다렸는데도 나까지 두 명이다. 버스가 출발하더니 져우장 시내 어느 한 사거리에서 30분이나 정차..
저녁을 먹고 헤어지려는데 바털이 맥주 한잔을 더 하자고 했습니다. 바털 부인도 역시 몽골족이고 바털과 함께 일합니다. 게다가 운전은 주로 부인이 하고 바털은 섭외를 담당하는 것 같습니다. 바털 부인은 아주 열심히 한국말을 배우고 있습니다. 노트에 일일이 발음을 몽고어로 적어가면서 묻고 또 묻습니다. 바털의 딸 주어린이 너무 늦은 시간이라 좀 피곤해 보입니다. 그래도 그 귀여운 표정은 사라지지 않고 본능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정말 귀엽습니다. 우리나라 말을 좀 따라해 보라고 했더니 아주 비싸게 굽니다. 몽골어로 숫자를 배워보기도 했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