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13억과의 대화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13억과의 대화

검색하기 폼
  • 13억과의대화 (1571)
    • 공지|프로필 (27)
    • 중국문화여행 (0)
      • 동행인솔 (0)
      • 발품답사 (0)
    • 여행 후기 (256)
    • 매체기고 (453)
      • 한국일보발품기행 (147)
      • 농심음식여행 (60)
      • 오마이뉴스 (182)
      • 매체연재완료 (59)
    • 중국역사문화강좌 (120)
      • 공개강좌 (18)
      • 출간도서 (22)
    • 차이나는발품기행 (2)
    • 방송영상 (344)
      • 영상차이나 (274)
      • 한겨레TV차이나리포트 (52)
      • TVIS 일단출발 (4)
      • ebs세계테마기행 (8)
      • 천하무림기행 (6)
    • 중국대중문화 (48)
    • 라이프차이나 (232)
      • 여우위에칼럼 (16)
    • 취재인코리아 (89)
  • 방명록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147)
일백번 참아 지킨 저택 “취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으리”

황제의 은혜를 받은 저택.. 취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으리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칠채 윈난 인문풍광 ① 단산촌 윈난성 수도 쿤밍에 직항이 뜬다. 1994년에 역사문화 도시로 선정된 젠수이(建水)까지 남쪽으로 200km, 약 3시간을 이동하고 다시 서쪽으로 30분 정도 거리에 단산촌(團山村)이 있다. 중원에서 온 한족 이민촌이다. 명나라 초기 장시 출신의 상인이 이주했다. 한족 문화와 현지 문화가 결합해 가옥구조와 문양이 보기 드물게 색다르다. 200가구가 조금 넘는 작은 산촌이지만 다듬지 않은 보물과 만나는 기분이다. 한족이 이주하기 전에는 예부터 이족(彝族) 거주지였다. 이족말로 '투서얼(突舍尔)'이란 지명으로 불렸다. '금과 은이 숨은 땅'이란 뜻이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9. 3. 17. 16:32
살과 불의 한식(寒食)...개자추는 모든 걸 버렸거늘

한식 주인공 개자추의 교훈, 굴원과 소동파도 몰라주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역사문화 명산 ④ 면산 소동파가 지은 의 제1수 첫 4행이다. 문자옥을 겪고 황주로 좌천된 40대 중반의 소동파는 우울한 심정으로 불평했다. 제2수에서도 임금의 '구중'과 조상의 '만리'를 한탄하더니 싸늘하게 식은 재로 변한 자신의 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129자 한 폭 시첩은 처량한 마음을 절제된 행서로 담은 소동파의 대표작이다. 왕희지의 , 안진경의 에 이은 '천하제삼행서(天下第三行书)'로 타이완 고궁박물원이 소장하고 있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9. 3. 4. 11:39
일본 역사학계 입 다물게 한 벽화의 정체는?

막고굴 와의 우연, 일본 역사학계의 말문을 닫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역사문화 명산 ③ 오대산 중국 최고의 유물로 막고굴(莫高窟). 735개 석굴을 모두 개방하지 않아 겨우 10개 정도 봤다. 나머지는 대부분 책자로 봤다. 61호굴은 문수당(文殊堂)이라 부른다. 10세기 중엽, 오대 말기 둔황(敦煌) 통치자 조원충이 개축했다. 불단에 있던 문수상은 사라졌지만 사면의 벽화는 감탄사가 저절로 나온다. 동쪽 벽에는 타클라마칸 사막 남쪽에 자리잡은 불교국가 우전(于阗) 왕국의 천공공주가 머리에 봉관(凤冠)을 쓰고 있는데 아름답기 그지 없다. 서쪽 벽에는 문수보살의 성지 오대산도(五台山图)가 새겨져 있다. 천년의 세월이 흐른 후에 중국 고대 건축의 보물을 발견하는데 일등공신이 될 줄 누가 알았으랴.{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9. 2. 22. 12:39
'와호장룡' 속 아름다운 추락…장쯔이는 선녀였을까

'와호장룡' 보고 창암산에 서면 선녀가 보인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역사문화 명산 ② 창암산 창암산(苍岩山)은 허베이성 징싱(井陉) 현에 위치한다. 고속철을 타면 베이징에서 스자좡역까지 1시간 반이면 도착한다. 현지에서 차량을 빌리면 2시간 만에 갈 수 있다. 이름도 낯선 창암산을 찾아간 이유는 리안 감독의 영화 '와호장룡' 때문이다. 영화 속에서 '무당산으로 가거라' 대사 후 등장하는 장쯔이의 아름다운 자살 또는 투신은 무당산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촬영 장소는 창암산이었다. 1월 한겨울이라 해도 찾아가지 않을 수 없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9. 1. 20. 09:21
봉우리마다 궁전 하나…꼭대기엔 반란 황제의 미니 자금성

반란의 황제를 위한 미니어처 황궁, 무당산을 위한 변명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역사문화 명산 ① 무당산 무당산(武當山)은 후베이성 서북쪽 도시 스옌(十堰)에 있다. 직항이 있는 도시 네 곳의 딱 가운데 위치한다. 비행기에서 내려도 시안에서 4시간 반, 우한에서 5시간, 정저우에서 6시간 반, 충칭에서 9시간 반이 걸린다. 베이징에서는 빠른 기차로도 16시간이 걸린다. 무당산 하나 보자고 찾아가기 쉽지 않다. 등산이나 무술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가볼 만 하다. 등산도 좋아하지 않고 태권도조차 배우지 않았지만, 무당산을 찾은 이유는 도교와 명나라 황제 때문이다. 3월 중순 여전히 쌀쌀한 날씨, 무당산은 비도 오고 그래서 안개가 많았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9. 1. 5. 11:20
개울에 비친 홍등을 안주 삼아 술잔을 기울이리라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글자, 너무 간략해서 도무지 모르겠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강서 휘주문화 우위엔 ④ 샤오치와 리컹 밤 새워 험난한 길을 가는데 날이 밝아오면 얼마나 기쁠까? 이를 천강포효(天剛破曉)라고 한다. 당나라 말기 황소(黄巢) 민란이 전국을 휩쓸던 시기, 왕만오(汪萬五) 일가는 휘주부에서 장장 400리를 피난 내려왔다. 시냇물이 흐르고 산으로 둘러싸였으며 풀과 꽃이 만발한 들판이자 비옥한 땅이 눈 앞에 나타났다. 그렇게 짐을 풀었다. 9세기부터 정착했으니 그 어떤 천년고진 부럽지 않은 세월을 지녔다. '동이 트는 땅' 샤오치(曉起), 양생하(養生河)가 흘러 샤오촨(曉川)이라고도 불렀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8. 12. 22. 09:47
주석이 와도 밥그릇 들고 환호할…골목이 식당이자 사랑방

장쩌민 전 주석이 왔어도 밥그릇 들고 환호했을 사람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강서 휘주문화 우위엔 ③ 왕커우와 장완 우위엔에서 휘주부로 가는 길에 왕커우(汪口)가 있다. 마을 앞으로 융촨허(永川河) 수로가 이어진다. 1110년 송나라 때 처음 마을이 형성됐다. 주위가 높고 움푹 들어간 지형이라 산에서 내려온 물이 고였다가 강으로 퍼져나가는 형세다. 넓은 웅덩이라는 뜻으로 왕커우라 했다. 중국 성씨 중 1, 2등을 다투는 왕씨, 그러나 왕커우는 유(俞)씨 집성촌이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8. 12. 8. 10:32
이대로 늙어가면 또 어떠리…지혜와 인심 갖춘 휘주의 고택

유교와 상인이 만나 지혜와 인심이 풍부한 휘주마을[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강서 휘주문화 우위엔 ② 리컹에서 옌촌까지 이학명촌(理學名村)으로 알려진 리컹(理坑)은 1206년 여경양(餘景陽)이 처음 이주했다. 여씨 집성촌이다. 진사 16명, 7품 이상 관원 36명, 문인 학사 92명이나 배출했다. 산골마을에서 많은 인재가 나왔으니 예부터 자칭 '서향(書鄕)'이었다. 시조인 여도잠(餘道潜)은 1118년에 주희(朱熹) 아버지 주송(朱松)과 함께 진사에 등과한다. 두 사람은 모두 우위엔이 고향이다. 푸젠성 여우시(尤溪) 현위로 재직할 때 태어난 주희는 사당이 있는 우위엔(婺源)을 자주 찾았으며 큰 발자취를 남겼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8. 11. 24. 10:29
이전 1 ··· 15 16 17 18 19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중국발품기행 답사 동행 방문 흔적
  • 최종명 CHOI JONGMYUNG 崔钟名
  • 13억과의 대화 - 프로필
  • 중국발품취재 180일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 페이스북(최종명)
  • 중국문화여행 밴드
  • CHINATV-YouTube
  • EBS세계테마기행
Total
Today
Yesterday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