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길에 도착 후 방문한 리메이(礼美) 민족복장 회사입니다. 역시 ‘예의가 아름다운’ 것인가 봅니다. 이름에 걸맞게 우리 민족의 전통 옷인 한복으로 중국사회에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예미한복 류송옥(刘松玉) 동사장의 감동적인 사업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특히, 프랑스 파리에서 우리 한복을 출품해 동포애를 진하게 느끼게 된 것이 사업을 확장하고 성장시킨 동기라는 대목에서 눈시울이 뜨거워 집니다. 홍콩 영화배우 성룡의 옷도 디자인해 주기도 했으며 예술로 승화시킨 우리 한복의 아름다움을 가슴 깊이 새겼습니다.
포브스가 선정한 중국 최고의 개발구로 선정된 길림시 부시장과의 면담입니다. 이암 부시장은 길림시와 개발구 환경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동북아경제연구소의 박영철소장의 추천도 있고 선물 증정 후 간단한 점심이 이어졌습니다. 술자리에는 늘 친구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홍영기위원장과 동갑 중국친구. 그래서 홍위원장 많은 술을 마셨네요. 우리의 '한궈메이뉘' 박승민팀장의 역할도 제법 훌륭했습니다. 모두 즐거운 대화의 자리였습니다.
첫날 장춘 포럼 행사가 끝났습니다. 호텔에서 쉬고 있는데 로비에 청아한 피아노 소리가 들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후화’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영화에 출연하기도 했던 인기가수 저우지에룬(周杰伦)의 첸리즈와이(千里之外)가 들립니다. 너무 오랜만에 듣는 피아노이기에 한 곡 더 기다리니 예쁘고 노래 잘 하는 여가수 장샤오한(张韶涵)의 멍리화(梦里花)가 연주됩니다. 두 곡 모두 아름다운 선율에 포근한 리듬이 살아있습니다. 피아노 곡으로 들으니 더 감칠 맛 납니다. 장춘의 밤은 그렇게 깊어갔습니다.
2007년 5월30일부터 6월3일까지 중국 길림성 장춘과 연길에서는 한국의 삼성경제연구소 한중BIZ포럼과 정통부 산하 KIICA가 주관하는 “제3회 한중비즈니스포럼”이 개최되고 있습니다. 장춘,연길행사는 "동북3성에 진출 유망한 사업고찰과 현지 중국기업과의 합작/제휴, 연변과기대학을 중심으로 한 북한진출 IT사업 고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중BIZ포럼 회원이기도 한 저는 이 행사에 동행해 교류 포럼 현장, 개발구 방문, 행사만찬 그리고 백두산을 비롯한 문화 탐방을 취재합니다. 첫날인 5월30일에는 아우디 자동차를 만드는 유명한 장춘의 1기창 공장 방문에 이어 길림성정부와 길림성무역촉진회(CCPIT), 과기청, 상무청 등 주요인사들과 함께 비즈니스 교류회를 가졌습니다. 2부에서는 길림성인민대표자회..
2007년 5월30일부터 6월3일까지 중국 길림성 장춘과 연길에서는 한국의 삼성경제연구소 한중BIZ포럼과 정통부 산하 KIICA가 주관하는 "제3회 한중비즈니스포럼"이 개최되고 있습니다. 장춘,연길행사는 "동북3성에 진출 유망한 사업고찰과 현지 중국기업과의 합작/제휴, 연변과기대학을 중심으로 한 북한진출 IT사업 고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중BIZ포럼 회원이기도 한 저는 이 행사에 동행해 교류 포럼 현장, 개발구 방문, 행사만찬 그리고 백두산을 비롯한 문화 탐방을 취재합니다. 첫날인 5월30일에는 아우디 자동차를 만드는 유명한 장춘의 1기창 공장 방문에 이어 길림성정부와 길림성무역촉진회(CCPIT), 과기청, 상무청 등 주요인사들과 함께 비즈니스 교류회를 가졌습니다. 장춘 따중치처 공장은 아우디..
5월 29일 찾아간 웨이만정권 만주국 '황궁'은 이제 건물마다 전시관으로 변했습니다. 그중에도 '마지막황제' 부의의 일생을 그린 '황제에서 서민으로(从皇帝到公民)'이 흥미롭습니다. 3세에 자기 의사와 무관하게 황제로 등극한 그는 황궁을 쫓겨나는 청나라 '마지막 황제'가 됐으며, 일본 제국주의의 앞잡이 만주국 '황제'로 변모했습니다. 종전 후 러시아 전범재판에 회부됐고 유죄가 인정돼 수감됐으며 이후 모택동 정부의 '신중국 옹호' 구호를 거쳐 특별사면돼 베이징에서 여생을 마쳤습니다. 이 전시관의 메시지 중 '공민'이 된 부의의 신중국에서의 삶과 여생이 가장 강렬해 보이는 것은 당연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태어나면서부터 평생 자신의 정치적 자유를 한번도 보장 받지 못했던 인간 부의. '신중국'에서 여생을..
중국은 만주국을 웨이만(伪满) 정권이라 부릅니다. 가짜 정권이라는 것이지요. 5월 29일 장춘에서 만주국의 황제로 둔갑한 마지막황제 부의가 살던 곳을 찾았습니다. 마치 황궁처럼 꾸몄지만 이는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거짓'을 감추기 위한 곳일 터. 이곳에 각 건물마다는 만주국에 대한 내용을 전시하고 있으며 특히, 부의와 그의 황비 완용의 아편 피는 모습을 보고 가슴이 아펐습니다. 청나라 마지막황비는 결국 아편으로 살아가는 신세가 됐으며 두번째 비인 문수는 역사상 최초로 황제와 공식적인 이혼을 하기도 했습니다. 부의에게는 이후에도 여러 부인이 있지만 완용과 문수만큼 드라마틱하지는 않습니다. 부의가 거주하던 곳을 비롯해 물론 그 당시의 것들이 아닌 장식이긴 하지만 방마다 예전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려 노력한 흔적..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