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2] 옌다이세제를 거쳐 허우하이를 걷다 패방 옌다이세제(烟袋斜街) 앞에 도착한 시간은 오후 2시경이다. 8월 9일 그날 중국인이 미국인을 살해한 현장인 구러우(鼓楼)를 지나왔는데 그 어떤 살기도 없이 말끔했다. 구러우를 지나고 나서 취재진들이 몰려들었던가 보다. '시간차'가 절묘했다. 어쩌면 옌다이세제에 가지 못하고 현장에서 바쁘게 움직였을 지 모른다고 생각하니 아쉽기도 하고 아무런 눈치도 채지 못하게 하는 시스템이 섬찟! 그런 느낌이다. 세제(斜街)는 ‘경사진 길’이고 옌다이(烟袋)는 ‘담뱃대’이니 이곳이 원래 무슨 동네인지 짐작이 간다. 구러우세제라 불리다가 청나라 말기에 이르러 지금의 이름으로 불렸다니 그 역사도 감지된다. 지금은 외국인들이 자주 찾는 명소로 변해 유럽풍 음식..
베이징올림픽이 한창이다. 금메달 레이스가 시작됐다. TV화면을 보면 각 경기장마다 의외로 응원하는 관객들이 아주 많아보이지는 않는다. 그 난리법석이던 티켓들은 다 어디로 갔단 말인가. 오늘(10일) 비가 오락가락 하더니 지금 시간에는 폭풍과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퍼붓고 있다. 마치 개막식 때 비를 막았다가 한꺼번에 봇물 터지듯 쏟아지는 것은 아닐런지 의구심이 들 정도로. 개막식 당일 베이징 주변만 제외하고는 비가 엄청 많이 왔던 것을 생각하면 틀린 이야기도 아닐 듯하다. 그래서 오후에는 방에서 TV 중계를 보고 있다. 중국 방송에 관심이 많으니 당연히 실황중계, 즉 즈보(直播)를 하는 채널들을 지켜봤다. 중국은 중앙방송국인 CCTV가 전국 단일 채널이고 각 성마다 독자적인 방송채널을 가지고 있다. 각 ..
[베이징올림픽아웃사이드-1] 문화거리 '난뤄구샹'에 가다 올림픽이 열리는 베이징은 한여름이다. 개막식 다음날인 8월 9일, 최근에 알려지기 시작한 문화거리인 난뤄구샹(南锣鼓巷)을 찾았다. 1킬로미터가 채 되지 않는 짧은 거리이지만 후통(胡同) 사이로 베이징 전통가옥인 사합원(쓰허위엔, 四合院)이 가득한 곳이다. 베이징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거리 중 하나인 난뤄구샹은 일찍부터 가보고 싶었던 곳이다. 지금은 술집도 생겼고 공예품을 파는 가게들이 들어섰지만 다른 곳에 비해 최근에 알려진 곳이라 외국인들의 손때가 비교적 덜 묻은 곳이니 여전히 옛스런 모습이 많이 남아있으리라는 기대가 많았다. 비교적 평범한 거리이고 한산하다. 베이징 집집마다 차량마다 걸린 오성홍기가 이곳에도 여지없이 올림픽 분위기처럼 펄럭..
[올림픽인베이징] - 여우위에의 올림픽리포트 1신 베이징올림픽 개막의 날이 밝았습니다. 저는 어제(7일) 비행기로 베이징에 왔습니다. 수천피트 상공에서 바라본 하늘은 마냥 파랗건만 베이징 시내 하늘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베이징 '셔우두(首都)공항'은 공항은 평소와 다르지 않게 한산한 편이었습니다. 올림픽을 치르는 나라의 공항입국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빠르고'도 '조용한' 모습이라 '편하기도 했지'만 '이상한' 느낌입니다. 그만큼 이번 베이징올림픽을 예상과 다릅니다. 예상과 다른 것은 검색이 '과격'하리라는 것이었는데, 평소와 다른 점은 짐 검사를 원칙대로 모든 승객에게 적용하는 것 정도. 짐을 찾는데 올림픽 푸와가 사람들과 장난치는 모습이 정겹습니다. 이 푸와 둘의 재롱만이 올림픽 기분을 들뜨게 ..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명한 리장(丽江) 고성을 주 무대로 살아온 소수민족인 나시(纳西)족은 독창적인 상형문자인 동바 문자 외에도 전통적인 춤사위인 '동바우(东巴 舞)' 동바 무용이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고성 곳곳에서 밤이나 낮이나 사람들이 모여 전통 옷을 입고 빙빙 돌며 자신들의 전통 춤사위를 선 보인다. 특히 하얀색과 하늘색이 어울리는 옷의 느낌이 리장의 이국적인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 앞 부분은 리장 고성에서 북쪽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호수의 모습이다. 아이들이 발가벗고 헤엄을 치며 놀고 있다. 푸른 하늘과 어울린 파란 호수가 산뜻하다. 뒷부분은 역시 리장 고성에서 소수민족 나시족 아주머니들이 한꺼번에 둘러서서 빙빙 돌며 추는 동바 무용이다. 낮이라 전통복장과 춤사위가 더 돋보인다.
전 세계 최초 고속기차 내 무선인터넷 사용해보니 지금 KTX 열차를 타고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시속300km 무선인터넷, 나만의 특별한 인터넷세상'을 즐기기 위해 부산역에서 노트북을 대여했습니다. 대여료는 5천원. 신분증과 열차표를 제시하고 간단한 양식에 연락처와 주민등록번호, 주소만 기입하면 대여할 수 있습니다. 사용한 후 서울역에서 다시 반납하면 됩니다. 과연 어느정도 서비스가 가능할지 궁금하기도 했고, 혼자 서울로 3시간 올라가자니, 시간 보내기에는 안성마춤일 듯 싶어서 말입니다. 열차에 타서 노트북 가방을 열어 노트북을 여니, CPU 셀러론 1.86GHz, 1G 램이고, XP 홈에디션이 깔려 있습니다. 성능이 그다지 나쁘다고 할 수는 없는데,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쓰던 것이라 자기..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명한 리장(丽江) 고성을 주 무대로 살아온 소수민족인 나시(纳西)족은 독창적인 상형문자인 동바문자 외에도 전통적인 춤사위인 '동바우(东巴 舞)' 동바 무용이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고성 곳곳에서 밤이나 낮이나 사람들이 모여 전통 옷을 입고 빙빙 돌며 자신들의 전통 춤사위를 선 보인다. 특히 하얀색과 하늘색이 어울리는 옷의 느낌이 리장의 이국적인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 영상 앞 부분에는 리장고성의 늦 오후의 한가한 모습을 담았다. 뒷부분에는 깊은 밤, 장작 불을 밝힌 채 춤을 추는 나시족 아주머니들의 춤사위를 볼 수 있다.
리장 나시족 동바 문자는 볼수록 아름답다. 리장 고성 귀퉁이 한 아담한 가게가 있는데 종이 만드는 과정도 보여준다. 또한, 종이를 직접 제작해서 만든 지도, 책, 엽서 등을 팔기도 한다. 게다가 물건을 하나 사면 그곳에 동바 문자로 원하는 글씨를 써주기도 한다. 동바 문자를 직접 써주는 나시족 할아버지가 있다. 다른 가게처럼 동바 문자 사전을 보고 한족들이 흉내 내는 것이 아닌 본토 원조 동바 문자를 써주는 것이다. 아름다운 리장고성의 사계절 풍광을 담은 자그마한 책자를 하나 샀다. 그리고 그 겉면에 내 블로그 이름인 '有约 和十三亿对话' 즉 '여우위에 13억과의 대화'를 써달라고 했다. 재미있다. 그리고 아래쪽에는 당일 날자를 쓰더니 도장까지 찍어준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