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예사원이 있는 짜낭(扎囊)에서 라싸로 돌아가는 길은 버스 타고 가는 순례의 길이기도 하다. 알롱창포 강을 끼고 한바퀴 돌아가는 길. 체탕(泽当)을 지나 산 중턱, 절벽에 우뚝 솟아있는 윰브라캉(雍布拉康)이라는 이름의 사원이다. 헷갈려서 멘트를 '융브랑카'라고 했는데, 아마도 윰브라캉이 맞을 듯하다. 버스는 승객들이 절벽에서 바라보는 갖가지 절경과 사원의 이색적인 모습을 다 차분히 볼 수 있도록 기다려준다. 확 트인 사방을 보노라니 가슴이 다 뚫린다. 장족 할아버지 할머니가 두 손을 꼭잡고 올랐다 내려오는 모습이 너무 정겹다. 말과 낙타들은 손님을 기다리는데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오락가락하니 영 낭패다.
[중국발품취재88] 상하이, 중국과 세계를 움직이다 중국 6개월 발품취재 중 상하이(上海)를 두 번 갔다. 물론 전에도 출장으로 몇 번 간 적이 있지만 늘 엄청난 성장 속도에 감탄하게 된다. 9월 15일 오후 난징루(南京路)는 주말이어서인지 더욱 붐볐다. 19세기 중엽 외국 열강이 상하이의 문을 열고 들어온 이래 가장 번성한 상업 거리로 '따마루(大马路)'라 불리기도 했다. 1930년대에는 중국에서 현대적(摩登)인 백화점인 셴스(先施), 융안(永安), 신신(新新), 따신(大新) 등 4곳이 상업을 주도하기도 했다. 지금도 패션 문화거리로 외국인들이 단골로 방문하는 곳으로 마치 우리나라 명동과 비슷한 느낌을 준다. 세계인들이 활보하는 거리답게 외국인들이 참 많다. 사람들도 모두 활기차고 패션 감각도 화사하고..
친황다오 여행체험 즐겨찾기!!! 베이징올림픽 축구 예선 2경기가 베이징 역에서 약 300킬로미터 떨어진 친황다오(秦皇岛)에서 열린다. 우리의 올림픽 축구 팀은 이곳에서 예선 두 경기를 펼치는데 많은 사람들이 응원을 해서 좋은 성적으로 예선을 통과했으면 좋겠다. 두 경기는 7일 및 10일에 열린다. 친황다오 부근은 바다가 있는 해변이고 휴양지이며 좋은 여행지도 많다. 베이징 편에 이어 친황다오 즐겨찾기를 해보자! 1일 08/07(목) 친황다오에는 베이다이허(北戴河)와 난다이허(南戴河) 두 곳의 유명한 해변이 있다. 베이다이허에도 기차 역이 있는데, 친황다오보다 20여분 가깝다. 그래서, 베이다이허에서 내려도 상관 없는데, 특급 이상 기차는 둘 중 한 곳에만 정차하니 잘 살펴봐야 한다. 베이징에서 D열차 편..
우리 일행 중 한명이 우연히 쌈예사원(桑耶寺)이 있는 곳인 짜낭(扎囊)의 건설공사를 담당하는 간부인 따(达) 선생과 친해졌다. 그래서 우리 모두 따 선생이 초대한 저녁과 술자리에 초대됐다. 숙소로 돌아오는 밤길에 장족 현지인들이 부르는 노랫가락이 좋아 녹음했고 쌈예 여행 사진을 묶어서 배경으로 해보니 분위기가 좀 사는 것 같다. 따 선생은 자기의 친한 친구인 서장대학 교수와 닮았다고 나에게 무척이나 잘 해주고 친한 느낌을 표시했다. 게다가, 다음날 장족음식까지 대접해주니 너무 고마운 친구다.
쌈예사원 입장료는 40위엔. 카메라로 사진 찍으려면 150위엔, 캠코더는 무려 1500위엔. 그렇지만, 사원 사방을 둘러싸고 있는 4개의 탑들을 둘러보는 것으로도 즐겁다. 흰색, 붉은색, 검은색, 초록색으로 이뤄진 탑들은 대체로 구성이 비슷하다. 사원 주변은 한적하지만 순례자들의 발길이 끊임 없다. 티베트불교의 발원지라 부를만큼 성지이기 때문이다. 양, 소, 야크 등도 겨우 돋은 푸릇한 풀을 먹으려고 바삐 움직이지만 여느 다른 곳에 비하면 느릿하다. 그래서, 사람들이 별로 볼만 하지 않다는 쌈예사원도 나름대로 색다른 풍경이다.
7월20일 새벽에 일어나 우리 일행 6명은 쌈예사원으로 가기 위해 버스를 탔다. (원래 7명이었는데, 한 친구가 버스시간을 1시간 잘못 알아 같이 못 왔는데, 나중에 극적 상봉) 시끄러운 음악소리에도 남들 다 자는 버스 안에서 어둠 속에 언뜻 비치는 풍경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오캐롤'이 나와서, 안그래도 애써 잠을 기다리던 분위기를 가셔버린다. 활짝 어둠이 걷히자마자 내린 곳은 알롱창포 강을 건너는 선착장. 한참을 기다린 후, 여행객과 현지인을 가득 실은 배는 아침 공기를 가르며 아름답고 성스러운 알롱창포 강을 1시간 가량 저었다. 다시 트럭을 타고 30분 가량 달려 티베트 불교의 발원지라 일컫기도 하고 라싸처럼 번잡하지 않고 한적한 쌈예사원(桑耶寺)에 도착했다. 우리는 1박을 위해 사원 앞 숙소에 짐..
7월19일 저녁무렵. 한 장족 아이를 찾기 위해 바코르 광장을 다시 찾았다. 아침에는 오체투지를 하고 저녁에는 장족 민속 춤을 춘다는 6~7세 정도의 여자아이. 그러나, 하루종일 비가 조금씩 내려서인지 결국 나타나지 않았다. 2009/03/06 - [여우위에千字칼럼] - 티베트의 꼬마 유관순은 잘 지내고 있을까? 아이를 찾으며 기다리다가 저녁무렵 순례자들의 행진을 좀더 가까이에서 바라봤다. 묵묵하게 걷는 사람 여럿이 어울려 대화도 나누며 걷는 사람 오체투지 하는 사람, 남녀노소 티베트 승려들, 외국 여행객들, 어른 아이, 장애우 등 티베트 바코르에서 그들을 보노라면 뭐라 말하기 힘든 복잡한 '머리'와 형언 하기 힘든 심장 뛰는 '가슴'을 느끼게 된다.
어느 한 친구가 뒷문으로 들어가면 포탈라 궁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후문으로 들어가는 걸 당연히 막았지만, 내려오는 사람들 틈에 끼어 살짝 올라갔습니다. 포탈라 궁은 허가서를 들고 들어가서 다시 입장료를 내는 것이니 입장료 내기 전까지는 공짜로도 사실 볼 수 있습니다. 내부는 카메라나 캠코더 찍으려면 돈을 또 내야하니 이것도 남다른 취재의 재미입니다. 포탈라 궁 뒷면을 실컷 본 셈입니다. 교를 숭상한 쏭첸감포의 '정교합일' 정권의 중심이던 포탈라 궁은 청나라 시대를 거치며 그 원형이 변했으며 신중국이 성립된 후 1985년에 고대문물 보호를 위해 사상 최대규모의 투자라 일컫는 대규모 공사를 거쳤고 1989년에도 다시한번 공사를 거쳐 지금의 모습으로 자리잡았다고 합니다. 백궁과 홍궁, 모두 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