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28일, 짱솨이푸(张帅府)를 찾았습니다. 장수부라 부르는 곳이 바로 장작림과 그의 본처 아들인 장학량의 고거입니다. 청나라말기 지방 군벌이 경쟁하던 시기 동북에는 북양정부 원세개 라인이던 장작림이 있었습니다. 장학량은 장개석을 체포한 '서안사변'의 주인공으로 세계 역사에 잘 알려진 인물로 세계사에 화려하게 등장했던 인물입니다. 참고 서안사변의 두 주연배우 장개석과 장학량 http://blog.daum.net/youyue/3855405 그의 옛집을 보면서 장학량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1901년에 태어나 2001년에 유명을 달리한 장학량. 심양에 가면 꼭 보려던 장수부에서 너무 시간을 많이 보냈던지 어두워지면서 천둥번개 치고 폭풍우가 쏟아지고 도시가 난리가 났습니다. 택시를 못잡아 버스 두번 갈..
션양 시내에 있는 장작림 장학량 부자의 역사를 배우러 간 곳 거리에서 물붓으로 글씨를 쓰는 한 아저씨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한국사람인 줄 대번에 알고 바닥에 '한국'을 쓰기도 합니다. 대만 사람들이 지나가니 '대만'도 씁니다. 작년에 한국 MBC에서 자신을 3일동안 취재했다고 자랑합니다. '용(龍)' 글자를 2,500평방미터의 공간에 썼다고 하는데 지나가던 사람이 믿지 않으니 약간 실망한 듯합니다. 중국 공원에는 이렇게 물을 묻혀 붓글씨는 쓰는 사람들이 아주 많습니다. 예전 2002년에는 이화원에서 오른손 왼손을 번갈아 가며 넓은 이화원을 하루종일 붓칠을 하는 사람을 보고 정말 고행이다 싶었습니다. 베이징 공원마다에도 자주 만나게 되고 하남성에서도 봤고 산동성에서도 봤습니다. 또 길거리 붓이야 하고 지나..
중국발품취재에서 만난 베이징올림픽 마스코트의 모티브 이미 개최 1,000일 전에 발표됐으니 이제 베이징올림픽 마스코트 푸와(福娃)도 친근해질만도 하다. 많은 사람들이 다 알듯이 다섯마리의 푸와들은 '베이징은 당신을 환영해요'라는 '베이징환잉니(北京欢迎你)'의 첫 글자의 발음을 따서 그 이름이 만들어졌으며 중국의 역사와 문화로부터 그 이미지가 형성됐다. 티베트문제와 스촨 지진은 베이징올림픽을 더욱 뜨거운 세계적 이슈로 삼아 메인스타디움으로 달려가고 있다. 소수민족문제, 지진 등 자연재해에도 불구하고 올림픽이 개최되지 않을 이유는 거의 없는 듯하다. 이에 푸와들이 담고 있는 역사와 문화를 배워보려 한다. '베이베이'는 잉어와 신석시 시대 문양 '베이베이(贝贝)'의 베이는 조개이다. 그래서인지 베이베이는 물고..
지난 9월말, 황산(黄山) 시를 거쳐 온 길은 그야말로 눈이 부셨다. 하늘은 파랗지, 구름은 또 맑지, 저녁이 되니 노을조차 붉었으니 말이다. 교통카메라가 우뚝 서 있는 시내. 건물 뒤에 솜털처럼 깔린 구름. 그래서인지 도시가 아주 깔끔해보인다. 하늘을 배경으로 선 조형물이 특이하다. 길게 뻗은 도로. 온통 뭉게구름이 햇살과 노을을 다 품어간다. 전기줄이 하늘을 가르고 있으나 멋진 하늘을 어떻게 방해하랴. 길 양 옆으로 광고판이 둥근 모양이 이채롭다. 관광도시답게 도시조경을 좀 신경 쓴 듯하다. 이런 장관은 그렇게 자주 보긴 힘들 듯. 달리는 차 안에서 각도와 조명 잡느라 꽤 신경 썼다. 이것저것 다 들어오니 좀 복잡한 구성인데 ... 시내에 서 있는 탑과 하늘, 구름, 나무가 어울린다. 전선이 없으니 ..
중국은 수도인 베이징을 중심으로 방사선 형태로 뻗어난 이즈터우(一字头) 국도가 101번부터 112번까지 있고, 남북을 가르는 난베이종씨엔(南北纵线)인 얼즈터우(二字头) 국도가 201번부터 227번까지, 그리고 동서를 가르는 똥씨종씨엔(东西纵线)인 싼즈터우(三字头) 국도가 301번부터 330번까지 있다. 계속 도로가 건설 중이니 더 늘어나겠지만, 하여튼 도로도 많고 길다. 물론 짧은 도로도 있지만 수천킬로미터에 이르는 도로도 많다. 5,476킬로미터에 이르는 318번 국도도 있다. 205번 국도 역시 북쪽 산하이관(山海关)에서 남쪽 광쩌우(广州)까지 이르는 3,160킬로미터나 된다. 그 중 저쟝(浙江) 성 서북쪽을 거쳐 안후이(安徽) 성 남쪽에 이르는 도로는 산길로 특히 유명하다. 산길 입구에 무장강도를 ..
아침도 못 먹고 거리에서 산 군밤으로 배를 속이고 여기까지 왔는데, 마침 식당 하나가 구세주처럼 등장했다. 국도 변 산골, 게다가 지나는 사람조차 거의 없는 이곳에 식당이라니. 아마도 '돈강' 치엔쟝(钱江) 낚시하러 오는 사람들을 위해서가 아닐까 싶다. 식당 입구에 이핀(一品)이라 쓰여있다. 일품이란 정일품, 종일품 이렇게 쓰기도 했으니 아마도 어떤 분야에서 제일 으뜸가는 것을 말할 듯하다. 거기다 아마 수왕썅(爽香)이라 쓴 거 같은데, 이말은 '죽이는 냄새'라고 보면 되니 '냄새와 맛이 죽이는 요리'가 있다는 뜻일 게다. 우리가 들어서자 놀란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집 주인이다. 혼자 먹고 있는 음식들이 완전 토속 그 자체여서 놀랐다. 과연 맛은 어떨까. 우리 일행 중 한명이 맛을 보더니 '야 정말..
롱후산(龙虎山) 낚시대회를 마치고, 도교 사원 티엔스푸(天师府)를 본 후 다시 중국의 험난한 국도를 헤집고 돌아가야 한다. 안후이(安徽) 성 우후(芜湖)에서 318번, 206번 국도를 따라 롱후산에 갈 때와 달리 이번에는 황산(黄山) 시를 거쳐 가는 길을 택했다. 거리는 좀 멀지만, 도로 사정은 좀 좋으리라 기대한 때문. 롱후산이 있는 잉탄(鹰潭)은 쟝씨(江西)의 동북에 위치한다. 잉탄을 벗어나려는 데 엄청난 녀석들이 지나고 있다. 트럭에 자기 몸 설 공간을 겨우 비집고 돼지들이 지난다. 수십마리를 될 듯. 정말 트럭은 강하다. 잉탄에서 고속도로를 타고 가다가 저쟝(浙江) 서북 도시 창산(常山)에서 205번 국도와 만났다. 우리는 바로 205번 국도로 돌아가야 하니 제대로 잘 찾은 것이다. 국도를 접어드..
- Total
- Today
- Yesterday